15. 자기 이해, “6가지 이름” – 139

보리수 스님
2025-06-30

실재와 비실재 개념의 구분: 아비담마의 지혜

우리는 일상에서 수많은 말과 개념을 사용한다. 모든 것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면, 실재實在, paramattha dhamma와 비실재非實在이다.

  1. 실재: 우리가 실제로 경험하고 알 수 있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배 움직임이 단단하다’, ‘즐겁다’, ‘무언가를 본다’와 같이 오감시각·청각·후각·미각·촉각이나 마음으로 직접 알 수 있는 것들이다.
  2. 비실재: 실제로 독립적인 실체가 있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우리가 이름을 붙이거나 사회적 약속으로 만들어진 개념이다. 예를 들어, ‘한국인이다’, ‘남자다’, ‘선생님이다’와 같은 분류나 명칭이다.

이러한 구분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무엇이 진정으로 ‘경험’되는 것이고, 무엇이 단순한 ‘이름 붙이기개념’에 불과한지를 명확히 분별하기 때문이다. 


아비담마가 설명하는 6가지 개념 분류

불교의 심오한 가르침인 아비담마Abhidhamma에서는 이 개념들을 더 세분화하여 6가지로 나눈다. 아비담마 위바왕니

 

1. 실재를 알게 하는 개념 위짜마나 빤냣띠

현실에서 실제로 경험할 수 있는 현상, 즉 실재 그 자체를 가리키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1. 루빠: 몸, 눈, 귀처럼 실제로 존재하는 물질 현상.
  2. 나마: 마음, 느낌, 생각과 같은 정신 현상.
  3. 웨다나: 즐거움, 괴로움, 평온처럼 우리가 감지하는 감각이나 느낌.
  4. 산냐: 사물을 인식하고 이름을 붙이는 마음 작용.
  5. “아프다”, “기분 좋다”, “무언가를 본다” 같은 직접적인 경험.


"머리가 아프다"에서 ‘머리’와 ‘아픔’은 실제로 감지할 수 있는 현상이다. 


2. 비실재를 알게 하는 개념 아위짜 빤냣띠

실제로 독립된 실체가 없지만, 사회 관습이나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허구적인 개념이다.

 

  1. 국적: 한국인, 동남아시아인, 몽골인 등.
  2. ‘한국인’이라는 명칭은 여권이나 사회 규정에 따라 정해진 것일 뿐, 몸루빠과 마음나마 어디에도 ‘한국인’이라는 속성은 실제로 없다.
  3. 직업: 선생님, 학생, 원예가, 어부 등.
  4. 가족 호칭: 자매, 형제, 고모부, 아주버니 등.
  5. 허구적 존재: 도깨비, 천국의 문, 토끼의 뿔, 하늘나라 등. 

3. 실재에 덧붙인 비실재 위짜마네나 아위짜마나 빤냣띠

실제로 존재하는 것을 바탕으로 하되, 그 위에 덧붙여진 개념이 비실재인 경우이다. 실제 현상에 상상이나 실제를 변형해서 꾸며낸 개념이다.

 

예를 들면,

  1. 산신령: ‘산’은 실재하지만, 산에 사는 ‘신령’은 꾸며낸 비실재허구, 개념이다.
  2. 물의 요정: ‘물’은 실재하지만, ‘요정’은 꾸며낸 비실재허구, 개념이다.
  3. 사람의 그림자 귀신: ‘사람’과 ‘그림자’는 실재하지만, ‘그림자 귀신’은 꾸며낸 비실재허구, 개념이다.
  4. 뛰는 고양이: 뛰는 모습실재 + 고양이비실재 명칭
  5. 선정을 체험한 사람: 선정실재 + 사람비실재은 꾸며낸 비실재개념이다. 

4. 비실재에 섞인 실재 아뷔짜 아마네라 아뷔짜마나 빤냣띠

비실재적인 개념을 바탕으로 하지만, 그 안에 실제로 경험할 수 있는 실재 현상이 포함된 경우이다.

 

예를 들면,

  1. 남자의 웃음소리: ‘실제로 들리는 소리’실재에 ‘남자’사회적 개념인 비실재.
  2. 선생님의 목소리: ‘목소리’실제로 들림에 ‘선생님’사회적 개념인 비실재
  3. 도깨비의 금도끼, 은도끼: ‘도깨비’는 허구지만, ‘금도끼’, ‘은도끼’는 우리가 실제로 인식할 수 있는 대상이다.
  4. 하늘나라의 옷: ‘하늘나라’는 비실재이지만, 그 안의 ‘옷’은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는 대상이다.
  5. 용이 뿜는 불: ‘용’은 비실재이지만, ‘불’은 실재적인 개념이다. 
  6. 파도 같은 배 움직임: ‘배 움직임’은 실재하지만, 비유적으로 든 ‘파도’(그 자체의 움직임이 아니라 파도 같다는 비유)는 비실재적 개념이다.

5. 실재에 근거한 실재 위짜마네나 위짜마나 빤냣띠

실제로 존재하는 것을 바탕으로, 또 다른 실제 현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경우로 실재 위에 실재를 덧대어 설명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1. 몸의 팔, 다리: 몸(실재) + 팔·다리(실재)도 각각 실재이다.
  2. 나무의 열매: 나무(실재) + 열매(실재)도 실재이다.
  3. 몸의 세포, 마음의 느낌: 몸과 마음이 실재이고, 그 구성도 실재하는 현상이다.
  4. 강물의 고기: 강물(실재)에 사는 + 고기(실재)는 실재이다.
  5. 짝쿠 + 의식윈냐나: 둘 다 실재하는 현상이며, 이 둘이 만나서 ‘보는 경험’이라는 또 다른 실재를 만듦. 눈으로 무언가를 보고 마음으로 아는 것은 실제 경험이다. 마치 카메라 렌즈와 필름이 함께 있어야 사진이 찍히듯, 눈과 의식이 만나야 보는 경험이 일어난다. 

6. 비실재끼리 연결된 비실재 아위짜 아마네나 아위짜마나 빤냣띠

허구비실재를 바탕으로 또 다른 허구를 얹어서 더 큰 상상의 세계를 펼치는 경우로, 비실재적인 개념끼리 서로 연결되어, 또 다른 비실재 개념을 만든다.

 

예를 들면,

  1. 용궁의 나라에 사는 얼음공주: ‘용궁’도 허구, ‘용궁의 나라’도 허구, 그 안에 사는 ‘얼음공주’도 허구이다.
  2. 하늘나라 천왕의 딸인 요정: ‘하늘나라’도 허구, ‘천왕’도 허구, 그 ‘딸인 요정’도 허구이다.
  3. 삼촌과 조카, 선생님과 학생의 관계: 이런 관계들은 법이나 사회가 정해놓은 역할이나 관계비실재일 뿐이다. 몸이나 마음에 ‘삼촌’이나 ‘조카’라는 실체가 새겨진 것은 아니어서 직접 보거나 경험할 수는 없다.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명칭과 개념들은 비실재이다.

  1. 가족 관계: 삼촌, 고모 등
  2. 공간: 동굴, 수평선 등
  3. 시간: 어제, 오늘, 내일.
  4. 위치: 네팔, 제주도 등
  5. 형상: 산, 탑 등
  6. 계속: 강의 흐름, 몸 움직임, 영화 등
  7. 상상: 토끼 뿔, 소의 날개 등
  8. 집단: 회사, 학교, 가족, 민족 등

 

위빠사나 수행을 통해서만 실재와 비실재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은 단순한 철학 분류가 아니라,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는 지혜를 기르기 위한 실용적인 방법이다.

  

새벽넠 선원


홀담 쌓기



6 0

보시 계좌

(사)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 KB국민은행

법보시      
수행참가보시 
선원운영보시 
불사보시    
소년소녀가장 

231437-04-008659
231437-04-008688
231437-04-008646
231437-04-008662
231437-04-008675


선원 문의

 과천·합천·제주 통합번호  064-744-2841

vip-borisu@hanmail.net


사단법인 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6306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평화6길 55-2


ⓒ 2024. (사)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All Rights Reserved


선원 문의

오시는 길


보시 계좌


 전화 문의

과천 · 합천 · 제주 통합번호

064-744-2841

 메일 문의

vip-borisu@hanmail.net

과천 선원
경기도 과천시 과천동 뒷골 2로 15

합천 선원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충효로 64

제주 선원
제주시 애월읍 광령평화6길 55-2

(사)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 KB국민은행

 법보시(출판물)
 수행참가보시
 선원운영보시
불사보시
 소년소녀가장 

 231437-04-008659
 231437-04-008688
 231437-04-008646
 231437-04-008662
 231437-04-008675 


사단법인 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6306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평화6길 55-2 (광령리)


ⓒ 2024. (사)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