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수 스님의 + - = x ÷
세상의 종교들은 나름대로 모두 성스러움에 대해 말합니다. 어떤 종교는 신성한 것, 즉 신적 자체를 성스러움이라 하고 어떤 종교는 강이 성스럽기에 멀리까지 찾아가서 목욕만으로 불선업이 소멸한다고 하거나, 어떤 높은 산을 신비롭고 성스러운 곳이라 하여 이곳을 순례하면 잘못되고 나쁜 것들이 사라진다고 하고, 어떤 종교는 이상한 것을 성스러움이라고 봅니다. 이에 불교는 바른 것을 성스러움이라 합니다. 한 방향인 바라고 원하는 것들, 다른 방향인 바라지 않고 원하지 않는 양극단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이 바름입니다. 이에는 네 가지 그리고 8가지가 있습니다.
1. 바른 이해 (Sammā-diṭṭhi)
2. 바른 사유 (Sammā-sankappa)
3. 바른 말 (Sammā-vācā)
4. 바른 행위 (Sammā-kammanta)
5. 바른 생계 (Sammā-ājīva)
6. 바른 정진력 (Sammā-vāyāma)
7. 바른 사띠 (Sammā-sati)
8. 바른 집중 (Sammā-samādhi)
우선 산란한 마음을 다스리고자 분명한 대상을 향하여 마음을 기울일 때가 정진력입니다. 노력이라는 활력이 있어야 마음이 집중된 고요한 상태가 됩니다. 분명한 대상을 주시하여 아는 것이 바른 사띠입니다. 사띠가 있어야만 몸과 마음의 물질과 정신 과정에 바른 이해가 생깁니다. 분명한 대상을 철저하게 주시하면 대상을 놓치지 않고 마음은 깊어집니다. 이 상태가 바른 마음 집중입니다. 분명한 대상으로 마음을 향하고자 함이 바른 사유이며 그럼으로써 대상의 앎이 일어나는 것이 바른 이해입니다. 수행하는 동안은 말하지 않기에 저절로 바른말이 되고, 잘못된 행위를 하지 않기에 바른 행위가 되며 결국 자연스럽게 바른 생계가 됩니다.
불교가 추구하는 것은 지혜이기에 어떤 경우에도 어리석은 앞에 무릎을 꿇거나, 환상 앞에 머리를 숙이거나 전도된 것을 의지하지 않습니다. 오직 진실하고 바른 지혜에만 무릎 꿇고 의지합니다. 성스러움을 바름으로 보는 종교를 불교 외에서는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성스러움이 바름이라 해도 성스러움을 단순한 객관인 지식 또는 추상 이론으로 이해하거나 받아들이면 실천이 결부되지 않게 됩니다. 그러면 성(聖)이란 한낱 추상개념이 될 뿐 자기 마음 밑바닥까지 흔들어 놓지 못합니다.
불교가 지닌 진실하고 바른 지혜의 가르침이 진정한 성스러움으로 자신의 전인격을 흔들어 놓아야 합니다. 불교에서 지혜와 실천의 문제는 여기까지 더듬어 가야 비로소 참된 해답을 얻습니다.
성스러운 것과 만나면, 먼저 자기 내면에 움직이는 마음이 전율로 공포, 몸서리치게 됩니다. 성스러운 것에 대한 마음의 움직임입니다. 성스러운 것이 갖는 존엄, 힘은 몸과 마음을 저절로 전율로 떨리게 합니다. 매료하게 만듭니다. 마음을 꽉 잡고 놓아주지 않습니다. 몸서리치면서 정체 모를 고요하고 차갑고 시원한 희열이 넘쳐 경탄스럽고 놀라며 두려움마저 일어납니다. 몸과 마음 상태가 순간순간 변하는 무상을 잠시가 아닌 최소 몇 시간, 며칠간 경험하여, 그 사실이 몸과 마음속에 기억하여 이해될 때, 우리 마음이 과연 가만히 있을 수 있을까?
지금까지 막연했던 상식은 이때 발밑에서부터 허물어져 버릴 것입니다. 전혀 새로운 세상과 삶이 진실함으로 자기 앞에 전개합니다. 이때 놀라움이나 공포, 또는 몸서리침 없이 마음이 가만히 있을 수 있을까요? 우리는 즐거움을 추구하기에 여섯 문을 방황으로 이리저리 휘저으며 즐거움을 쫓아 살고 있습니다. 그런 상식이 산산이 깨쳐버리고 놀라고 두려워하는 인생이 자신 앞에 있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만약 조금의 전율도 체험하는 일이 없다면 그 수행자는 진정으로 무상 = 괴로움을 이해했다고 볼 수 없을 겁니다.
백합과 수국
수국
보리수 스님의 + - = x ÷
세상의 종교들은 나름대로 모두 성스러움에 대해 말합니다. 어떤 종교는 신성한 것, 즉 신적 자체를 성스러움이라 하고 어떤 종교는 강이 성스럽기에 멀리까지 찾아가서 목욕만으로 불선업이 소멸한다고 하거나, 어떤 높은 산을 신비롭고 성스러운 곳이라 하여 이곳을 순례하면 잘못되고 나쁜 것들이 사라진다고 하고, 어떤 종교는 이상한 것을 성스러움이라고 봅니다. 이에 불교는 바른 것을 성스러움이라 합니다. 한 방향인 바라고 원하는 것들, 다른 방향인 바라지 않고 원하지 않는 양극단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이 바름입니다. 이에는 네 가지 그리고 8가지가 있습니다.
1. 바른 이해 (Sammā-diṭṭhi)
2. 바른 사유 (Sammā-sankappa)
3. 바른 말 (Sammā-vācā)
4. 바른 행위 (Sammā-kammanta)
5. 바른 생계 (Sammā-ājīva)
6. 바른 정진력 (Sammā-vāyāma)
7. 바른 사띠 (Sammā-sati)
8. 바른 집중 (Sammā-samādhi)
우선 산란한 마음을 다스리고자 분명한 대상을 향하여 마음을 기울일 때가 정진력입니다. 노력이라는 활력이 있어야 마음이 집중된 고요한 상태가 됩니다. 분명한 대상을 주시하여 아는 것이 바른 사띠입니다. 사띠가 있어야만 몸과 마음의 물질과 정신 과정에 바른 이해가 생깁니다. 분명한 대상을 철저하게 주시하면 대상을 놓치지 않고 마음은 깊어집니다. 이 상태가 바른 마음 집중입니다. 분명한 대상으로 마음을 향하고자 함이 바른 사유이며 그럼으로써 대상의 앎이 일어나는 것이 바른 이해입니다. 수행하는 동안은 말하지 않기에 저절로 바른말이 되고, 잘못된 행위를 하지 않기에 바른 행위가 되며 결국 자연스럽게 바른 생계가 됩니다.
불교가 추구하는 것은 지혜이기에 어떤 경우에도 어리석은 앞에 무릎을 꿇거나, 환상 앞에 머리를 숙이거나 전도된 것을 의지하지 않습니다. 오직 진실하고 바른 지혜에만 무릎 꿇고 의지합니다. 성스러움을 바름으로 보는 종교를 불교 외에서는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성스러움이 바름이라 해도 성스러움을 단순한 객관인 지식 또는 추상 이론으로 이해하거나 받아들이면 실천이 결부되지 않게 됩니다. 그러면 성(聖)이란 한낱 추상개념이 될 뿐 자기 마음 밑바닥까지 흔들어 놓지 못합니다.
불교가 지닌 진실하고 바른 지혜의 가르침이 진정한 성스러움으로 자신의 전인격을 흔들어 놓아야 합니다. 불교에서 지혜와 실천의 문제는 여기까지 더듬어 가야 비로소 참된 해답을 얻습니다.
성스러운 것과 만나면, 먼저 자기 내면에 움직이는 마음이 전율로 공포, 몸서리치게 됩니다. 성스러운 것에 대한 마음의 움직임입니다. 성스러운 것이 갖는 존엄, 힘은 몸과 마음을 저절로 전율로 떨리게 합니다. 매료하게 만듭니다. 마음을 꽉 잡고 놓아주지 않습니다. 몸서리치면서 정체 모를 고요하고 차갑고 시원한 희열이 넘쳐 경탄스럽고 놀라며 두려움마저 일어납니다. 몸과 마음 상태가 순간순간 변하는 무상을 잠시가 아닌 최소 몇 시간, 며칠간 경험하여, 그 사실이 몸과 마음속에 기억하여 이해될 때, 우리 마음이 과연 가만히 있을 수 있을까?
지금까지 막연했던 상식은 이때 발밑에서부터 허물어져 버릴 것입니다. 전혀 새로운 세상과 삶이 진실함으로 자기 앞에 전개합니다. 이때 놀라움이나 공포, 또는 몸서리침 없이 마음이 가만히 있을 수 있을까요? 우리는 즐거움을 추구하기에 여섯 문을 방황으로 이리저리 휘저으며 즐거움을 쫓아 살고 있습니다. 그런 상식이 산산이 깨쳐버리고 놀라고 두려워하는 인생이 자신 앞에 있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만약 조금의 전율도 체험하는 일이 없다면 그 수행자는 진정으로 무상 = 괴로움을 이해했다고 볼 수 없을 겁니다.
백합과 수국
수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