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자기 이해: 각 종교와 철학에서 – 108

보리수 스님
2024-11-25

각 종교는 인간이 자신과 세계, 그리고 궁극적인 실재나 초월적 존재와의 관계를 이해하도록 돕습니다.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각 종교는 구체적인 방법과 목표를 다르게 정의하며, 독특한 관점에서 인간의 본질과 자아를 제시합니다. 각 종교의 관점과 접근 방식을 살펴봅니다.


1. 힌두교

나는 누구인가?

  힌두교는 인간의 본질을 참된 자아아트만, Atman, आत्मन्로 정의하며, 이는 불멸하고 영원한 실제로 간주합니다. 아트만은 우주의 근본 실제인 브라만Brahman과 동일한 존재로 이해합니다. 모든 인간은 아트만과 브라만이 하나임을 깨닫는 것범아일여, 梵我一如을 목표로 삼으며, 이 과정에서 자신의 신성한 본질을 압니다.

힌두교에서는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무지아비디야, अविद्या를 제거하고 해탈모크샤을 이루는 데 있습니다. 해탈은 윤회의 굴레에서 벗어나 브라만과 합일에 도달한 상태입니다. 이를 위해 명상과 요가로 내면의 신성을 깨닫고, 이기심 없는 행동카르마 요가, 신에 대한 헌신박티 요가, 이성적 탐구나나 요가 등을 실천합니다. 또한, 베다와 우파니샤드를 공부하며 스승의 가르침을 통해 아트만과 브라만의 일체성을 높입니다.


2. 불교

나는 누구인가?

  불교는 인간을 고정된 실체로 보지 않습니다. 인간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다섯 요소오온: 色, 受, 想, 行, 識로 이루어진 일시적 집합체로 간주하며, 독립적이고 불변하는 자아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봅니다. 이를 무아아낫타라고 하며, 자신에 대한 잘못된 견해인 유신견몸을 자기로 아는 것을 버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불교의 궁극적인 목표는 무지, 갈애, 집착에서 벗어나 괴로움dukkha을 소멸하는 것입니다. 괴로움이 없는 상태, 작은 불만조차 없는 상태를 진정한 행복이라 합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위빠사나지혜로 모든 현상이 찰나마다 변한다는 무상anicca을 봅니다. 팔정도, 연기緣起, 그리고 대념처경으로 자아의 일시성과 무아anatta를 통찰하며, 궁극적으로 번뇌 소멸인 열반닙바나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열반은 모든 괴로움이 소멸한 삶의 완전한 행복이기 때문입니다.


3. 유교

나는 누구인가?

  유교는 인간을 하늘로부터 도덕적 본성을 부여받은 존재로 봅니다. 스스로 도덕적 완성을 이룰 가능성을 가진 존재로 입니다. ‘나’는 사회관계 속에서 정의되며, 도덕 존재의 구실을 하는 데 본질이 있다고 여깁니다. 공자는 인을 강조하며, 인간을 가족, 사회, 국가와 연결된 존재로 이해합니다. 자아는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인간관계 속에서 정의되고 성장하는 존재이기에 따라서 자신을 이해하는 것은 곧 상대와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으로 봅니다.

유교는 수기치인修己治人, 즉 자신을 닦아 다른 사람을 이롭게 하는 삶을 강조합니다. 인"과 예의 덕목을 실천하며, 도덕 가치를 완성하고, 효, 충의 덕목을 사회에서 자신의 역할을 다하고 도덕적 성숙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학문과 자기 성찰로 자신의 본성을 탐구함으로써 더 나은 길로 나아가도록 말합니다.


4. 도교

나는 누구인가?

  도교는 인간은 자연의 일부로 보며, 모든 존재는 자연의 흐름에 따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가르칩니다. 도교의 기본 원리는 모든 것이 자연스러운 흐름인 도에 따라 존재하는 것으로, 개인의 자아는 자연의 일부이자 전체와 연결된 존재일 뿐 별개의 실체가 아니라고 봅니다. 도교는 인위적인 노력을 버리고 자연스러운 흐름을 따르는 무위無爲의 삶을 강조합니다. 도교는 자아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자신을 우주와 하나로 연결을 목표로 합니다. 명상과 호흡법을 통해 내적 평화를 이루고, 도덕 경전으로 도의 본질을 알고자 합니다. 자연 속에서 시간을 보내며 자연과 교감하고, 도의 흐름에 동화되기를 추구합니다.


요약, 동양 종교에서 ‘나’는 독립적이고 고정된 실체라기보다 관계 속에서 형성되고 변화하는 존재로 이해합니다. 또한 자아 집착을 버리고 다른 사람 또는 자연과의 조화, 그리고 깨달음을 통해 참된 자아를 발견하는 것을 이상으로 삼습니다.


5. 기독교

나는 누구인가?

  기독교는 인간을 하나님의 피조물이자 하나님의 형상Imago Dei으로 창조된 고귀한 존재로 봅니다. 동시에 인간은 죄로 말미암아 타락했지만,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구원받을 수 있는 존재입니다. 인간의 본질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발견되며, 이를 위해 하나님과의 교제를 지속해서 추구합니다. 기도와 공동체 예배로 하나님과의 관계를 강화하여 자신의 본질과 역할을 알게 됩니다.

성경 말씀과 묵상으로 인간의 목적과 정체성을 이해하며, 회개와 믿음을 통해 죄를 인정하고 예수님을 구주로 받아들임으로써 새로운 자아를 발견합니다.

기독교는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으로 존재의 진정한 의미를 찾고, 하나님 안에서 자신의 정체성과 사명을 발견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러한 삶은 영원한 생명을 준비하는 과정으로 간주하며, 자신의 존재 목적이 하나님을 사랑하고 섬기는 것임을 확인하게 합니다. 이는 영생으로 이어지는 궁극적 목표로 연결합니다.


6. 이슬람교

나는 누구인가?

  이슬람교는 인간을 알라하나님가 창조한 피조물로 보며, 인간은 하나님의 뜻에 따라 살아가야 할 책임과 목적을 가진 존재로 이해합니다. 인간은 칼리파대리자로서 지구를 관리하고 하나님의 뜻을 실현해야 할 사명을 부여받았습니다.

하루 다섯 번의 기도살라를 통해 하나님과의 관계를 강화하며, 자신을 돌아보고 성찰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꾸란114장, 6,236절 약 600쪽, 가장 긴 286절, 가장 짧은 3절로 이루어짐. /튀르키예 종교부 발행 ‘성꾸란’ 인용과 순나예언자 무함마드의 삶는 인간의 존재 이유와 환경, 사회, 창조물을 위한 구체적인 틀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인간의 본질과 목적을 배웁니다.

이슬람의 5대 기둥신앙 고백, 기도, 금식, 자선, 메카 순례은 인간이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며 살아가는 삶의 방향을 제시합니다. 라마단 동안의 금식은 욕망을 절제하고, 자선자카트은 다른 사람을 돕는 행위로 대리자의 책임을 실천하는 방법입니다. 또한, 메카 순례하즈는 하나님에 대한 순종과 헌신을 상징합니다. 이 모든 실천은 하나님의 뜻을 따르고 신과의 관계 속에서 평화와 영원한 삶을 얻는 데 목표를 둡니다. 자기 성찰을 통해 하나님의 뜻을 알아가며, 그 속에서 자신의 존재를 이해합니다.


7. 서양 철학 

나는 누구인가?

  소크라테스는 “너 자신을 알라”는 격언으로 인간이 자기 성찰로 진정한 자아를 이해하고 도덕적 삶을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무지를 인정하고 깊이 탐구하는 과정에서 인간의 본질을 발견하려 했습니다.

플라톤은 인간의 본질을 영혼에 두고, 이성 탐구와 철학 사유를 통해 영혼을 정화하고 깨달음을 얻는 것이 진정한 자아를 찾는 길이라고 보았습니다. 그는 인간의 존재가 이성 탐구를 통해 이상적인 진리와 선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8. 현대 세속주의 및 심리학 관점

나는 누구인가?

  종교이지 않은. 현대 세속주의와 심리학에서는 자기 이해를 철학적, 경험적 탐구를 통해 접근합니다.

심리학에서는 자아를 분석으로 이해하며, 자기실현self-actualization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매슬로Maslow의 욕구 단계 이론은 인간이 자기 잠재력을 최대한 실현하려는 본능적 동기를 설명합니다.

현대 세속주의에서는 인간이 사회, 개인 경험, 환경의 영향을 받아 자신을 정의한다고 봅니다. 인간은 자신이 처한 맥락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며 성장하는 존재로 이해합니다. 자아를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변화하는 정체성으로 봅니다.


서양 종교와 철학에서의 “나는 누구인가?”는 인간을 신과의 관계, 자기 성찰, 이성적 탐구를 통해 이해하며, 궁극적으로 도덕적 완성과 진리를 추구하는 존재로 정의합니다.


총 요약

각 종교와 철학은 인간 존재의 본질에 대해 독특한 관점을 제시하며, 자기 이해와 성찰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공합니다. 중요한 공통점은 자기 성찰과 실천인 노력으로 자신과 세계를 더 깊이 이해하는 점입니다. 종교 관점과 함께 이러한 접근법은 자아 발견과 여정에 유익한 지침이 될 것입니다.





10 1

보시 계좌

(사)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 KB국민은행

법보시      
수행참가보시 
선원운영보시 
불사보시    
소년소녀가장 

231437-04-008659
231437-04-008688
231437-04-008646
231437-04-008662
231437-04-008675


선원 문의

 과천·합천·제주 통합번호  064-744-2841

vip-borisu@hanmail.net


사단법인 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6306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평화6길 55-2


ⓒ 2024. (사)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All Rights Reserved


선원 문의

오시는 길


보시 계좌


 전화 문의

과천 · 합천 · 제주 통합번호

064-744-2841

 메일 문의

vip-borisu@hanmail.net

과천 선원
경기도 과천시 과천동 뒷골 2로 15

합천 선원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충효로 64

제주 선원
제주시 애월읍 광령평화6길 55-2

(사)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 KB국민은행

 법보시(출판물)
 수행참가보시
 선원운영보시
불사보시
 소년소녀가장 

 231437-04-008659
 231437-04-008688
 231437-04-008646
 231437-04-008662
 231437-04-008675 


사단법인 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6306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평화6길 55-2 (광령리)


ⓒ 2024. (사)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