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자기 이해: 불교와 기독교에서의 감정(웨다나) – 112

보리수 스님
2024-12-23

  생기를 불어넣어 사람이 생령살아 있는 영이 되었다고 할 때 불교에서 생기의 첫 번째는 느낌웨다나, vedanā입니다. 느낌은 감각 경험에서 비롯되는 감정 반응을 의미하며, 즐거움, 괴로움, 중립덤덤함인 세 가지로 분류됩니다. 모든 경험에서 발생하는 느낌은 인간의 고통과 번뇌를 일으키는 정신 작용 중 하나로, ‘나’라는 고정된 ‘자아’나 실체가 없음을 알게 합니다. 또한 현재(원인)와 미래(결과)의 연결 고리를 끊어 집착에서 벗어나 업의 굴레를 벗어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면, 기독교에서는 감정을 인간의 본성에서 비롯된 정서적, 영적 반응으로 이해합니다. 이는 하나님의 창조물로서 감정이 본질적으로 선악으로 구분되지 않지만, 죄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봅니다.

 

다음은 불교와 기독교에서 느낌감정을 바라보는 주요 관점의 차이입니다.


1. 느낌감정의 본질

불교:

- 느낌웨다나을 즐거움, 괴로움, 중립의 세 가지로 분류합니다.

- 웨다나를 조건에 따라 일어나는 현상으로 보며, 찰나에 변하기에 고정된 실체무아, 영혼가 없다고 봅니다.

 

기독교:

- 감정을 하나님이 창조한 인간 본성의 일부로 봅니다.

- 감정 자체를 선악으로 구분하지 않지만, 죄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느낌(감정)과 죄

불교: 느낌웨다나은 조건에 따라 일어나는 것으로, 사성제에서 고통의 원인으로 알 수 있지만, 이는 인간의 내적 도전보다는 존재의 작용으로 바라봅니다.

 

기독교: 감정이 죄를 초래할 수 있는 요소로 간주합니다. 예수께서는 “마음에서 나오는 악한 생각”마태복음 15:19을 언급하며, 인간의 내적 감정이 죄로 이어질 수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3. 정신적 깨달음과 감정

불교: 느낌웨다나을 올바로 이해하지 못하면, 즐거움 느낌은 탐욕으로, 괴롭고 불만족인 느낌은 성냄으로, 중립적인 느낌은 무지로 이어집니다. 그러나 느낌을 “느낌 그대로” 이해하면, 느낌은 선정과 지혜의 대상이 됩니다. 결국 불교는 웨다나에 대한 잘못된 견해유신견와 집착을 소멸하고 해탈에 이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기독교: 감정은 영적 삶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성경은 기쁨빌립보서 4:4, 평화요한복음 14:27, 슬픔로마서 12:15과 같은 다양한 감정을 다루며, 성령의 인도 아래 감정을 조율하고 순화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4. 느낌(감정)의 역할

불교:

- 느낌감정을 지혜의 대상으로 삼아 올바르게 이해하면 선정과 지혜로 나아가는 길을 열어줍니다.

- 느낌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것을 강조합니다.

 

기독교:

- 감정을 하나님과의 관계와 영적 성장에 중요한 요소로 봅니다.

- 성령의 인도 아래 감정을 조절하고 순화하며 영적 성숙을 추구합니다.


5. 고통과 구원

불교:

- 웨다나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괴로움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연기와 사성제의 가르침을 통해 고통을 탐구하고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깨달음을 얻습니다. 이는 연기와 사성제의 가르침과도 깊이 연결됩니다.

 

기독교: 고통이 인간의 죄로 인해 발생했다고 보며,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과 죽음을 통해 구속이 이루어진다고 믿습니다. 따라서 고통 속에서도 하나님의 사랑과 평안을 경험하며, 이를 통해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한다고 봅니다.


6. 느낌감정의 관리

불교: 느낌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집착하지 않으며, 중도팔정도를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극단적인 반응을 피하고 웨다나의 흐름을 관찰함으로써 원인이 결과로 이어지지 않으며, 집착을 소멸하려는 노력 또한 포함합니다.

 

기독교: 감정 관리가 중요한 주제입니다. 성경은 죄의 감정인 분노, 미움에베소서 4:31, 질투갈라디아서 5:20와 같은 부정적 감정을 경고하며, 사랑, 용서, 평화를 강조합니다. 성령의 열매인 사랑, 기쁨, 평화, 인내갈라디아서 5:22-23를 통해 감정을 다스리고 영적 성숙으로 나아가고자 합니다.


7. 괴로운 느낌부정적 감정의 처리

불교:

- 괴로운 느낌부정적 감정을 탐욕, 성냄, 무지의 삼독三毒으로 보고 이를 지혜로 다스리고자 합니다.

- 위빠사나와 중도中道, 팔정도의 실천을 통해 느낌의 균형을 추구합니다.

 

기독교:

- 분노, 미움, 질투 등의 부정적 감정을 죄의 결과로 보고 경계합니다.

- 기도와 회개를 통해 부정적 감정을 다스려 죄에서 벗어나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8. 목표

불교:

- 웨다나는 인간의 감각 경험에서 비롯된 반응으로, 고통과 즐거움을 포함한 모든 느낌의 근원으로 봅니다.

- 느낌을 마음, 자기가 아닌 느낌 그대로 주시하여 원인과 결과의 고리에서 벗어나 열반에 이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기독교:

- 감정이 인간 존재의 일부로서, 죄와 구원의 과정에 깊이 관련됩니다. 감정의 본질적 성격이 죄로 이어질 수 있음을 경고하며, 성령의 인도 아래 감정을 순화하고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 감정을 하나님과의 관계 안에서 다스려 영적 성숙에 이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7 3

보시 계좌

(사)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 KB국민은행

법보시      
수행참가보시 
선원운영보시 
불사보시    
소년소녀가장 

231437-04-008659
231437-04-008688
231437-04-008646
231437-04-008662
231437-04-008675


선원 문의

 과천·합천·제주 통합번호  064-744-2841

vip-borisu@hanmail.net


사단법인 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6306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평화6길 55-2


ⓒ 2024. (사)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All Rights Reserved


선원 문의

오시는 길


보시 계좌


 전화 문의

과천 · 합천 · 제주 통합번호

064-744-2841

 메일 문의

vip-borisu@hanmail.net

과천 선원
경기도 과천시 과천동 뒷골 2로 15

합천 선원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충효로 64

제주 선원
제주시 애월읍 광령평화6길 55-2

(사)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 KB국민은행

 법보시(출판물)
 수행참가보시
 선원운영보시
불사보시
 소년소녀가장 

 231437-04-008659
 231437-04-008688
 231437-04-008646
 231437-04-008662
 231437-04-008675 


사단법인 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6306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평화6길 55-2 (광령리)


ⓒ 2024. (사)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