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빠
사 나

붓다락키따 스님 - 위빠사나가 우리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2

2019-01-27

붓다락키따 스님



1. 수행의 단계


 마음을 청정히 하여 몸(물질)과 마음의 성품을 알고 자유로움을 원한다면 반드시 베풂, 계, 정, 혜가 있어야 한다.



㉠ 첫 단계: 학습(듣고, 읽고, 베풀고, 도덕적 생활)


 (수행으로)오늘 내가 먼저 해야 할 일은? “잘못된 행위를 하지 말라(Sabba papassa akaranam).”이다. 이것이 마음을 청정히 하고 지혜를 일으키는 위빠사나 수행의 첫걸음이고 우리가 탐욕, 성냄, 어리석음이란 번뇌와 불선업으로부터 멀어져 자유롭게 살고자 원한다면 반드시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이를 가볍게 여기고 실천하지 않는다. 마음 다스리는 단계를 알지 못해 이것을 종교적인 것으로 이해하여 멀리하거나 외면하고 이러함이 없는 명상이 일반인을 위한 폭넓은 것으로 생각한다. 인간성을 놓치고 거친 마음을 다스리는 첫 단추가 없는 명상이 대부분인 이유가 이 때문이다. 모든 선과 불선, 행복과 불행의 근원은 생각, 행위, 말로 표출되고 그에 원인을 둔다. 탐욕과 성냄이 기승을 부릴 때, 먼저 마음을 잡지 못하면 안 된다. 몸과 마음을 잘 통제한다면 말과 행위를 잘 다스릴 것이다. 크든 작든 말과 행위, 생각으로 모든 잘못된 행위를 끊는 것이 자유로운 삶(수행)의 시작이며 끝이다. 작은 먼지가 손바닥에 있을 때는 보이지 않고 아무 영향력을 발휘하지 않지만, 눈에 들어가면 눈물을 흘리고 보이는 것에 장애를 일어나게 한다. 잘못된 행위, 말, 생각을 안 하고 유익한 행위 만을 실천하여 행위, 말, 생각으로 어떠한 잘못된 행위도 하지 않는 것, 그것이 올바른 자유로움의 시작인 첫 단추이다. 그러자면 어떤 상황에서도 올바른 말과 행위를 기억하고 알아차림을 지녀야 한다. 수행하는 것은 상대, 사회를 변화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상대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자신의 나쁘고 그릇되고 잘못됨을 반복하지 않는 떳떳함을 지녀 삶을 청정히 살고자 하는 것이다.



● 할 것과 하지 말 것을 구분하는 것이 수행의 첫 단계이다.


- 하지 말아야 할  말: 거짓말, 이간질 말, 화내는 말, 쓸데없는 잡담

- 해야 할 말: 정직한 말, 화합의 말, 자애의 말, 필요한 말

- 하지 말아야 할 행위: 살아 있는 것을 죽이지 않는다. 주지 않는 것을 갖지 않는다. 배우자 외의 사람과 성관계를 하지 않는다.

- 해야 할 행위: 살아 있는 것을 지켜준다. 남의 재산을 보호해 준다. 한 가정을 지켜주어야 한다. 말과 행위인 이 일곱 가지를 한 번에 무너뜨리는 행위가 술을 마시거나 마약 하는 것이기에 술과 마약을 하지 않는 것이 시작이면서 초석이다. 여기에 종교, 관습, 전통, 절대자의 영향력 등은 없다. 지키면 좋은 결과가 따르고 쌓이지만 지키지 못하면 괴로운 결과가 그림자처럼 따르고 쌓일 뿐이다.



㉡ 중간 단계: 실천수행 (사마타와 위빠사나)


 마음은 진동하고 흔들린다. 마음은 형태, 소리, 냄새, 맛, 감촉, 법에 흔들리는 성질을 갖는다. 빠른 속도의 말은 고삐를 강하게 잡아당겨야 통제할 수 있다. 달리는 말의 꼬리를 잡기 어려운 것처럼 산란한 마음을 잡기는 어렵다. 일생을 통해 마음은 잠재의식과 마음의 진행과정으로 구분한다. 하나의 대상에 마음을 두는 것을 에깍가따(ekaggata)라 하며 에깍가따는 사마디(집중)처럼 흔들리는 산란하고 산만한 마음을 통제하고 고요하게 한다. 마음을 사마타로 다스리지 않으면 통제하기 어렵다. 마음을 한 대상에 두더라도 마음은 빠른 속도의 말처럼 어제, 내일, 후회, 들뜸으로 순간 달아나 마치 망아지처럼 과거와 미래, 주위를 방황으로 계속 두리번거린다. 집중된 상태로 자신을 바라봐야 한다. 마음을 통제하지 못하면 고통과 불선업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선업과 자유로움은 마음을 통제에서 시작된다.



● 산만한 생각 다스리기


1. 한 가지 대상에 대해 수행할 때 탐욕과 성냄, 어리석음과 연관된 불선한 생각이 일어나면(이것을 버리기 위해) 선한 다른 대상으로 마음을 기울여야 한다. 그러면 불선한 생각들이 사라진다. 사라짐으로써 마음이 견고해지고 고요해지며 집중된다. 마치 숙련된 목수가 휘어진 못을 빼고 새 못을 사용하듯이 선한 것을 대상으로 하고 그렇지 않은 대상을 버린다. 그러면 탐욕과 성냄, 어리석음과 관련된 불선한 생각들이 제거된다. 거친 생각이 잠잠해지면 마음이 견고해지고 고요해짐으로써 마음이 깊이 집중된다.


2. 선한 대상을 숙고할 때, 여전히 불선한 생각이 일어나면 불선한 생각의 불이익에 대해 생각해야 한다. ‘이 생각들은 불선하여 이익이 못되고 비난받을 것들이며 고통스러운 결과를 가지고 온다.’ 그러면 불선한 생각이 사라지게 된다. 거친 생각이 잠잠해지면 마음이 견고해지고 고요해짐으로써 마음이 깊이 집중된다.


3. 불선한 생각들이 주는 불이익에 대해 관찰했는데도 여전히 불선한 생각들이 이어진다면 불선한 생각들에 관심을 두지 말고 수행하지 말아야 한다. 그러면 불선한 생각이 제거되어 사라진다. 거친 생각이 잠잠해지면 마음이 견고해지고 고요해짐으로써 마음이 깊이 집중된다.


4. 불선한 생각에 관심이 없고, 불선한 생각을 관찰하지 않는데도 여전히 불선한 생각이 일어나면 이 생각의 뿌리를 제거하는 것에 대해 수행해야 한다. 그러면 불선한 생각이 사라진다. 거친 생각이 잠잠해지면 마음이 견고해지고 고요해짐으로써 마음이 깊이 집중된다.


5. 불선한 생각들의 뿌리를 제거하는 일에 대해 숙고하는데, 여전히 불선한 생각들이 일어나면 이를 악물고 혀를 입천장에 밀어붙인 채 선한 마음으로 불선한 마음을 억제하고 극복하며 조절해야 한다. 그러면 불선한 생각이 사라진다. 거친 생각이 잠잠해지면 마음이 견고해지고 고요해짐으로써 마음이 깊이 집중된다.


- 맛지마 니카야 -


● 산란한 마음을 고요히 하는 방법


1. 즐거운 마음으로 시작한다.

2. 과거나 미래로 이끌리지 않도록 단단히 정해놓은 대상에 온전히 마음을 기울인다.

3. 기울인 마음에 노력이 너무 강하거나 약하지 않아야 한다.

4. 게으름으로 정신적 나태에 빠지지 않는다.

5. 안 되더라도 포기하지 않는다.

6. 유혹에 빠지지 않는다.

7. 번뇌와 싸우지 않는다.

8. 나쁜 마음을 가지지 않는다.

9. 한 대상에만 일편단심 한다.


보시 계좌

(사)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 KB국민은행

법보시      
수행참가보시 
선원운영보시 
불사보시    
소년소녀가장 

231437-04-008659
231437-04-008688
231437-04-008646
231437-04-008662
231437-04-008675


선원 문의

 과천·합천·제주 통합번호  064-744-2841

vip-borisu@hanmail.net


사단법인 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6306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평화6길 55-2


ⓒ 2024. (사)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All Rights Reserved


선원 문의

오시는 길


보시 계좌


 전화 문의

과천 · 합천 · 제주 통합번호

064-744-2841

 메일 문의

vip-borisu@hanmail.net

과천 선원
경기도 과천시 과천동 뒷골 2로 15

합천 선원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충효로 64

제주 선원
제주시 애월읍 광령평화6길 55-2

(사)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 KB국민은행

 법보시(출판물)
 수행참가보시
 선원운영보시
불사보시
 소년소녀가장 

 231437-04-008659
 231437-04-008688
 231437-04-008646
 231437-04-008662
 231437-04-008675 


사단법인 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6306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평화6길 55-2 (광령리)


ⓒ 2024. (사)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