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빠
사 나

붓다락키따 스님 - 사마타와 위빠사나 3

2018-03-09

 경전에서 붓다는 제자들에게 마음 집중 계발할 것을 지속 권장하셨습니다. 색계 선정(초선~4선정)은 제자들을 위해 만든 완벽한 수련 과정에 항상 포함되어 있으며, 네 가지 선정의 특징은 더 높은 차원의 의식(아디찟따식카), 팔정도의 올바른 집중(삼마 사마디), 집중의 능력(사마디 인드리야)과 집중의 힘(사마디 발라)을 결국 수련하는 것입니다.



● 집중을 생기게 하는 40가지 수행주제 (깜마타나)


 청정도론(위숫디 막가)에서 말하는 40가지는, 10종류의 두루 채우는 수행(까시나), 10종류의 시체를 관찰하는 수행(아수바), 10종류의 계속하여 숙고하는 수행(아눗사띠), 4종류의 한계가 없는 마음에 머무는 수행(브라흐마 위하라), 4종류의 색계를 벗어난 수행(아룹빠), 음식에 대한 혐오 수행(아하레 빠띠꾸울라 산냐), 지수화풍 4가지 근본요소로 관찰하는 수행(짜뚜다뚜 와왓타나) 이렇게 40가지를 말합니다.


 집중 상태로 구분하면, ‘사마타’ 수행의 주제 40가지 중에서 한 가지를 계속 계발할 때, 일시적으로만 집중되는 순간 집중(카니까 사마디), 빛과 함께하는 표상(니밋타)이 두드러지며 선정에 들기 전(우빠짜라 사마디)까지, 집중이 계속 유지(압빠나 사마디)되는 마음 청정 세 종류가 있습니다.


 예비 집중(빠리깜마 사마디)은 마음을 대상에 집중하려는 최초 노력의 결과가 있을 때 일어나며 위빠사나 수행 때는 통찰지혜와 함께하며 근접 집중(우빠짜라 사마디)으로 이끕니다. 근접 집중은 다섯 가지 장애를 극복하면서 집중 요소들이 일어나며 이때 선명한 표상(빠띠바가 니밋따)이 일어납니다. 본 집중(압빠나 사마디)은 집중 요소들이 충분히 성숙하여 마음이 대상에 완전히 몰입할 때 일어납니다. 이때에는 색계(1~4선), 무색계(5~8선) 성취를 포함합니다.


 서원(찬다)을 앞세워 얻은 집중, 노력(위리야)을 앞세워 얻은 집중, 마음(찟따)을 앞세워 얻은 집중, 그리고 지혜(vimansa)를 앞세워 얻은 집중이 있습니다.


 다른 구분법으로는 세간에서의 집중(로끼- 사마디)과 출세간의 집중(로꿋따라- 사마디) 두 종류로 나눕니다. 욕계·색계·무색계라는 세 가지 세상과 관련하여 생겨난 순간 집중·깊은 집중·완전한 집중은 세간의 집중 상태입니다. 깊은 집중 및 위빠사나의 기본이 되는 8가지 선정 수행에 든 상태(사마-빳띠)로 말할 수 있습니다.


 성스러운 도와 과(아리야- 막가팔라)에 마음이 하나로 모인(에깍가따) 상태는 세간을 벗어난(로꿋따라- 사마디) 출세간 집중입니다.



● 들숨·날숨(아나빠나 깜마타나)에 대한 이야기


 40가지의 수행주제 중에서 들숨·날숨 수행은 붓다와 벽지불(뺏째카붓다), 그리고 으뜸 제자들이 닦은 수행주제입니다. 이러저러한 생각이 많은 사람과 어리석음의 성향이 강한 사람들에게 적합한 수행주제라는 가르침도 있습니다. 여기에 들숨·날숨만 선택하여 오늘 여러분에게 설명하고자 합니다.


 먼저 붓다께서 어떻게 들숨·날숨 수행을 하셨는지를 붓다왕사에 살펴보면, 싯달타 왕자가 태어난 지 한 달이 된 갓난아기였을 때 아버지인 숫도다나 왕이 추수절 행사를 거행하는 동안, 싯달타 왕자는 잠부나무 아래에서 들숨·날숨 수행을 통해 첫 선정을 얻었습니다. 그 후 왕궁과 가족을 떠나 6년간 고행했지만 아무런 성과가 없었습니다. 그러다 ‘까손(음력 4월)’ 달의 첫날부터 시작하여 들숨·날숨 수행으로 방법을 바꾸셔서는 15일이 되기 전에 네 번째 선정에 들었습니다. 그리고는 마침내 ‘마하-삭까라자’력 103년 ‘까손’ 달 보름날에는 1천 5백 가지 번뇌의 덮개를 깨끗하게 씻어버리는 그 선정에 기초하여 오온의 모든 법을 마하왓지라 위빠사나로 수행하여 붓다의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 경전(빠알리)에서의 들숨·날숨 수행법


 들숨·날숨에 대해 수행하려는 사람은 먼저 자신의 말과 행동에서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계율을 바르게 한 후, 조용한 장소나 나무 아래, 또는 숲으로 들어가 가부좌 자세로 앉고 마음은 열반을 향하게 하여 알아차림(사띠)을 두면서 들이쉬고, 내쉬는 호흡을 밀착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① 들숨과 날숨이 길면, ‘들숨과 날숨이 길다.’라고 알아차린다.

② 들숨과 날숨이 짧으면, ‘들숨과 날숨이 짧다.’라고 알아차린다.

③ ‘들숨과 날숨의 처음, 중간, 끝의 모든 부분을 분명히 경험하면서 들이쉬고 내쉬리라.’며 수행한다.

④ ‘들숨과 날숨이 강하여 거친 들숨과 날숨(까야-상카라)을 부드럽게하여 고요하게 들이쉬고 내쉬리라.’며 수행한다.


보시 계좌

(사)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 KB국민은행

법보시      
수행참가보시 
선원운영보시 
불사보시    
소년소녀가장 

231437-04-008659
231437-04-008688
231437-04-008646
231437-04-008662
231437-04-008675


선원 문의

 과천·합천·제주 통합번호  064-744-2841

vip-borisu@hanmail.net


사단법인 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6306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평화6길 55-2


ⓒ 2024. (사)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All Rights Reserved


선원 문의

오시는 길


보시 계좌


 전화 문의

과천 · 합천 · 제주 통합번호

064-744-2841

 메일 문의

vip-borisu@hanmail.net

과천 선원
경기도 과천시 과천동 뒷골 2로 15

합천 선원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충효로 64

제주 선원
제주시 애월읍 광령평화6길 55-2

(사)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 KB국민은행

 법보시(출판물)
 수행참가보시
 선원운영보시
불사보시
 소년소녀가장 

 231437-04-008659
 231437-04-008688
 231437-04-008646
 231437-04-008662
 231437-04-008675 


사단법인 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6306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평화6길 55-2 (광령리)


ⓒ 2024. (사)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