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빠
사 나

붓다락키따 스님 - 사마타와 위빠사나 5

2018-03-26

● 집중 높이기 위해 해결해야 할 것들


① 집의 걱정거리를 해결한 후, 수행하라!

② 친척, 친구, 모임 등으로 말미암은 근심을 해결한 후, 수행하라!

③ 의·식·주·약에 대한 근심을 해결한 후, 수행하라!

④ 직장 등 소속 단체에 대한 근심을 해결한 후, 수행하라!

⑤ 일에 대한 걱정거리를 해결한 후, 수행하라!

⑥ 병에 관한 근심을 해결한 후, 수행하라!

⑦ 경전에 관한 근심을 해결한 후, 수행하라!

⑧ 수행 결과에 대한 근심을 해결한 후, 수행하라!



● 들숨·날숨(아나빠나 깜마타나) 수행의 이익


① 들숨·날숨에 대해 수행하면 마음이 맑고 고요해진다.

② 의심·불확실함이 버려진다.

③ 죽음의 마지막 순간까지 깨어 있다.

④ 사념처와 칠각지, 지혜 해탈의 완성에 이르는 법으로 붓다께서 직접 가르침을 주셨다.



● 들숨·날숨 수행을 열심히 계발하면


① 바라밀이 거의 충족된 사람이라면 한 번의 좌선에서 아라한이 될 수 있다.

② 죽음의 순간에 목숨이 다하면 번뇌 역시 모두 소멸(사마시시 아라한)된다.

③ 죽은 후에는 천상의 천인으로 태어나 그곳에서 법을 설하는 천신의 법문을 듣고 도과를 얻는다.

④ 붓다 가르침이 없는 시기에는 벽지불이 된다.

⑤ 다음 붓다께서 출현하는 시기에는 사성제를 가장 빨리 깨닫는(킵빠빈냐 아라한) 결과들을 얻을 수 있다고 맛지마니까야 주석에서 보였습니다.



● 깨어있음


 사마타 수행법이든 위빠사나 수행법이든, 깨어있음은 가장 기본적인 위치를 차지합니다. 첫째로, 깨어있음은 마음을 순수한 상태(탐욕, 성냄, 어리석음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필요로 하며 누군가에게는 잘못된 집중에서 벗어나게 합니다. 만약 이것이 없다면 바른길에 들 수 없습니다. 그러나 깨어있음이 강하게 확립되어 있다면 깊은 몰입에 쉽고 바르게 빠져들며 위빠사나 수행에서는 몸-마음의 공통적인 세 가지 특성이 쉽게 드러납니다. 


 마음이 산란하고 불안정하여 지속해서 오염으로 더럽혀지는 한, 문제투성이만 일어나지요. 이때 필요한 것이 깨어있음입니다. 그러나 깨어있음이 무엇이고 얼마나 많은 사람이 이를 실제로 알게 되거나 그것의 본성을 이해하게 되는가? 깨어있음을 정의하기는 사실 그렇게 쉽지 않습니다. 첫째로 말은 그것과 관련된 사상들(종종 잘못된)을 품은 개념들입니다. 한편 깨어있음은 현실―직접으로 명확하고 망상이 없으며 예리한 마음이 확실하게 경험되어야 하는 현상―입니다. 


 수행자가 정진력을 늦추지 않을 때 그는 깨어있음을 경험합니다. 어쩌면 책이나 말보다 수행하는 수행자가 가장 잘 알고 있는 것이 깨어있음입니다. 깨어있음의 기능인 바른 견해와 정진력이 약하지 않고 명확하여 대상을 분명하게 알게 될 때, 예를 들어 의심 없이 이를 알게 될 때, 이 깨어있음의 기능은 지금 있게 됩니다. 수행자가 경험을 통해 깨어있음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 때, 그는 자신의 수행 중에 모든 중요한 요소가 그 안에 현존하는지 아닌지를 구분할 수 있게 됩니다.


 깨어있음이 무엇인지 바른 생각을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우리는 그것을 알지 못하고 수행 중에 아까운 시간을 보낼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깨어있음 없이 집중을 개발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함은 위빠사나 수행으로 연결 안 되고 자신을 더 복잡하게 만듭니다.



● 그렇다면 깨어있음이란 무엇인가?


 깨어있음은 꾸준하고, 흩뜨려지지 않고, 각성의 명확한 앎을 말합니다. 그러자면 확고해야 합니다. 겁쟁이처럼 주춤거리지 않고, 불안한 사람처럼 신경질적이지 않고 전쟁터의 군인처럼 흔들리지 않고 확고해야 합니다. 두 번째는 흔들리지 않는 차분함으로 안정되고 평정의 상태가 되어야 합니다. 그러면 바라고 원하거나 불만족의 상태를 알아 벗어나야 합니다. 세 번째는 명확해야 합니다. 마음이 무겁거나 위축되거나 산란하지 않고 분명하고 명료하고 뚜렷해야 합니다. 네 번째는 방심하지 않아야 합니다. 정신을 바짝 차려 몸의 움직임과 움직임 사이에 빈틈이 없어야 합니다. 그래야 마음은 민첩해지고 기민해져 예리해집니다. 이런 해결은 절박한 마음이 있으면 됩니다. 절박한 마음이 안 일어난다면 간절한 마음이라도 있어야 합니다. 그러자면 게으르고 나태하지 않으면 됩니다. 마치 물이 가득 담긴 물그릇을 엎지르지 않고 옮길 때, 절벽 옆을 걷을 때처럼 깨어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있는 그대로의 깨어있음을 개발하기 위하여 우리는 다음의 몇 가지를 기억하여 반복으로 익혀야 합니다.


① 깨어 있으려면 생각을 잘 다스려야 합니다. 생각을 생각으로 알아 생각에 빠지지 않고자 해야 합니다.

② 현재에 마음을 두어 과거나 미래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불과 10분 전 기억도 정확하지 않습니다. 오지 않고 경험하지 못한 미래는 마음 둘 필요가 없습니다.

③ 정신과 물질적 현상의 특성과 작용에 깨어있어야 합니다. 이것들은 각각이 다양한 방식으로 정신적 작용으로 조건화 된 특징들입니다. 이것들은 매우 빠르고 복잡한 방식으로 움직입니다. 우리는 ‘나’, ‘너’와 같은 다양한 개념들로 주위에 의지하여 잘못 반응합니다. 또한, 사물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우리는 수많은 고통 속에서 헤매었습니다.


보시 계좌

(사)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 KB국민은행

법보시      
수행참가보시 
선원운영보시 
불사보시    
소년소녀가장 

231437-04-008659
231437-04-008688
231437-04-008646
231437-04-008662
231437-04-008675


선원 문의

 과천·합천·제주 통합번호  064-744-2841

vip-borisu@hanmail.net


사단법인 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6306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평화6길 55-2


ⓒ 2024. (사)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All Rights Reserved


선원 문의

오시는 길


보시 계좌


 전화 문의

과천 · 합천 · 제주 통합번호

064-744-2841

 메일 문의

vip-borisu@hanmail.net

과천 선원
경기도 과천시 과천동 뒷골 2로 15

합천 선원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충효로 64

제주 선원
제주시 애월읍 광령평화6길 55-2

(사)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 KB국민은행

 법보시(출판물)
 수행참가보시
 선원운영보시
불사보시
 소년소녀가장 

 231437-04-008659
 231437-04-008688
 231437-04-008646
 231437-04-008662
 231437-04-008675 


사단법인 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6306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평화6길 55-2 (광령리)


ⓒ 2024. (사)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