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다의 가르침을 다른 이들에게 널리 알리고, 다시 고쳐 쓰고, 가르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붓다의 가르침을 전파하는 일은 다음 아래와 같이 요약되는 붓다의 가르침을 섬기는 이들에게 용기를 북돋아 주는 일이 됩니다.
“모든 불선행을 삼가는 것이 곧 좋은 행동을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는 마음을 정화시켜 줍니다.”
무엇보다도, 붓다의 말씀을 전하는 이들은 모든 살아 있는 존재에 대해서 자애를 길러야 합니다. 또한, 사람들에게 나쁜 견해는 그들에게 나쁜 결과를 가져다 준다는 것을 알려 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나쁜 견해를 쫓아 버리도록 말해 주어야 합니다. 잘못된 행동 가운데 가장 나쁜 행동은, 어머니를 죽이는 것, 아버지를 죽이는 것, 아라한을 죽이는 것, 붓다의 몸에 피를 묻히는 원인이 되는 것, 그리고 상가(Samgha)의 법도를 교란시키는 것 등입니다. 비록 이러한 나쁜 행동을 한 이가 아주 착한 행동을 하였다고 하더라도 어떤 이도 그를 도울 수 없습니다. 그가 죽은 즉시 그는 결국 니라야(Niraya) 지옥에 빠지게 될 것입니다. 오직, 그가 니라야(Niraya) 지옥에서 벗어난 다음에 과거에 그가 행한 착한 행동이 그에게 좋은 결실을 보게 해 줄 것입니다.
잘못된 견해를 가진 사람들은 아버지를 죽인 사람 보다 더 나쁜 불이익을 가지게 됩니다. 만약, 다섯 가지의 가장 나쁜 행동 중에서 어떤 나쁜 짓을 저지른 사람이 니라야(Niraya) 지옥에 빠졌을 때, 그 지옥이 붕괴된다면 그는 지옥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기회를 가질지 모릅니다. 하지만, 확고하게 잘못된 견해를 가진 사람은 니라야(Niraya) 지옥이 붕괴된다고 하더라도, 또 다른 아직 붕괴되지 않고 존재하는 지옥으로 옮겨지게 될 것입니다.
붓다의 말씀을 전파하게 되면, 이러한 잘못된 견해를 가진 사람들을 도울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붓다의 말씀이 얼마나 다른 이들에게 혜택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 생각할 필요가 있습니다. 붓다의 말씀을 따르는 모든 이들은 붓다의 가르침을 전파하는데 애를 써야 합니다. 붓다의 가르침을 널리 알리는 것은 가장 선한 행동 중의 하나라고 붓다께서는 말씀하셨습니다.
누구나 붓다의 가르침을 배울 기회를 가져야 합니다. 우리는 아직 붓다의 가르침을 모르는 이들에게 그들이 알 수 있게끔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그리고 붓다의 가르침을 이미 아는 이들도 더욱더 배워서 더 많이 알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만약, 가능하다면 우리는 좀 더 나라 밖으로 나가서 붓다의 가르침이 아직 전해지지 않는 곳에 붓다의 말씀을 전파해야 합니다. 우리 자신들이 그렇게 하는 것이 어렵다고 한다면 붓다의 말씀을 전파 하기 위해 봉사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어야 합니다.
다른 이들을 삼보에 귀의할 수 있게 함 Sarangamana(사랑가마나)의 의미는 붓다(Buddha), 담마(Dhamma), 상가(Samga)에 귀의한다는 의미입니다. 모든 수행자는 각자 확신을 가지고 삼보[붓다[(Buddha), 담마(Dhamma), 상가(Samgha)]에 귀의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우리는 삼보를 믿어야만 할까요?
삼보에 귀의함으로써 계속되는 윤회의 사슬을 끊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참한 네 가지 상태지옥, 축생 등을 뜻함)에서도 자유로워 질 수 있음을 우리는 믿어야 합니다. 우리는 또한 담마(Dhamma)는 네 가지 비참한 존재와 계속해서 태어나게 되는 윤회의 사슬로부터 벗어나 모든 살아 있는 존재를 번영시키고 자유롭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믿어야 합니다. 그와 동시에 우리는 담마(Dhamma)를 설법하는 상가(Samgha)에도 믿음을 가져야 합니다. 이러한 믿음들을 통해서 삼보에 귀의할 가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됩니다. 삼보에 귀의한 이들은 확고부동한 믿음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이들은 그들의 다음 존재에서는 네 가지 비참한 상태로 벗어나고 윤회의 사슬도 끊을 수 있게 됩니다.
한번은 붓다께서 어떤 남자에 대한 말씀을 하셨습니다. 이 남자는 사끼안(크사트리아:무사 계급)으로서 Saranani(사라나니)라고 불리었습니다. 그는 오랫동안 삼보에 귀의한 사람으로서 붓다께서는 그를 칭찬하는 말씀을 아래와 같이 하셨습니다.
“사라나니 사끼안은 오랫동안 삼보에 귀의를 하였다. 그런데, 어떻게 그가 비참한 네 가지 상태로 다시 태어날 수 있겠는가?”
삼보에 확고한 믿음을 가지고 귀의하고, 빠른 분별력이 있고, 알려고 준비하고, 비판으로부터 자유로운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현재 생애에서 아라핫뜨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람은 네 가지 비참한 상태(지옥, 축생 등을 뜻함) 에서도 벗어날 수 있습니다. 삼보에 확고한 믿음을 가지고 귀의하고, 빠른 분별력이 있고, 알려고 하는 준비를 하고, 또한 붓다에 대해 비판을 하지 않은 사람이고, 다섯 가지 낮은 속박을 완전히 뿌리째 뽑았다면 brahma(범천)의 왕국에 다시 태어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는 아나가미(다시 돌아오지 않는 경지)가 될 것이고, brahma(범천)에서 빠리닙바나를 얻게 될 것입니다.
또한 만약 삼보에 확고한 믿음을 가지고 귀의하고, 빠른 분별력이 있지 않지만, 알려고 하는 준비를 갖추고, 비판으로부터 자유로운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이 생애에서 수다원(소따빳띠 팔라,sotapatti:흐름으로 들어섬)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비록 어떤 사람이 삼보에 확고한 믿음을 가지고 있지 않거나, 빠른 분별력이 있지 않거나, 알려고 하는 준비를 하고 있지 않거나, 비판으로부터 자유로운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만약 그가 붓다에 대한 믿음이 있다면, 그는 네 가지 비참한 영역에 다시 태어나지 않게 될 것입니다.
경전에 따르면, 단순히 붓다에 대한 믿음만으로도 네 가지 비참한 영역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다라고 하였습니다. 이는 매우 기운을 북돋아 주는 말입니다. 이 의미는 즉, 삼보에 귀의한 사람은 네 가지 비참한 영역으로 빠지지 않게 되는 것임을 명백하게 말해 주는 것입니다. 또한 붓다께서는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
삼보에 귀의하지 않은 다른 이들을 삼보에 귀의하도록(불교신자가 되게끔) 이끄는 이들은 비할 데 없는 은혜를 베푸는 사람들입니다.
붓다의 가르침을 다른 이들에게 널리 알리고, 다시 고쳐 쓰고, 가르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붓다의 가르침을 전파하는 일은 다음 아래와 같이 요약되는 붓다의 가르침을 섬기는 이들에게 용기를 북돋아 주는 일이 됩니다.
“모든 불선행을 삼가는 것이 곧 좋은 행동을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는 마음을 정화시켜 줍니다.”
무엇보다도, 붓다의 말씀을 전하는 이들은 모든 살아 있는 존재에 대해서 자애를 길러야 합니다. 또한, 사람들에게 나쁜 견해는 그들에게 나쁜 결과를 가져다 준다는 것을 알려 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나쁜 견해를 쫓아 버리도록 말해 주어야 합니다. 잘못된 행동 가운데 가장 나쁜 행동은, 어머니를 죽이는 것, 아버지를 죽이는 것, 아라한을 죽이는 것, 붓다의 몸에 피를 묻히는 원인이 되는 것, 그리고 상가(Samgha)의 법도를 교란시키는 것 등입니다. 비록 이러한 나쁜 행동을 한 이가 아주 착한 행동을 하였다고 하더라도 어떤 이도 그를 도울 수 없습니다. 그가 죽은 즉시 그는 결국 니라야(Niraya) 지옥에 빠지게 될 것입니다. 오직, 그가 니라야(Niraya) 지옥에서 벗어난 다음에 과거에 그가 행한 착한 행동이 그에게 좋은 결실을 보게 해 줄 것입니다.
잘못된 견해를 가진 사람들은 아버지를 죽인 사람 보다 더 나쁜 불이익을 가지게 됩니다. 만약, 다섯 가지의 가장 나쁜 행동 중에서 어떤 나쁜 짓을 저지른 사람이 니라야(Niraya) 지옥에 빠졌을 때, 그 지옥이 붕괴된다면 그는 지옥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기회를 가질지 모릅니다. 하지만, 확고하게 잘못된 견해를 가진 사람은 니라야(Niraya) 지옥이 붕괴된다고 하더라도, 또 다른 아직 붕괴되지 않고 존재하는 지옥으로 옮겨지게 될 것입니다.
붓다의 말씀을 전파하게 되면, 이러한 잘못된 견해를 가진 사람들을 도울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붓다의 말씀이 얼마나 다른 이들에게 혜택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 생각할 필요가 있습니다. 붓다의 말씀을 따르는 모든 이들은 붓다의 가르침을 전파하는데 애를 써야 합니다. 붓다의 가르침을 널리 알리는 것은 가장 선한 행동 중의 하나라고 붓다께서는 말씀하셨습니다.
누구나 붓다의 가르침을 배울 기회를 가져야 합니다. 우리는 아직 붓다의 가르침을 모르는 이들에게 그들이 알 수 있게끔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그리고 붓다의 가르침을 이미 아는 이들도 더욱더 배워서 더 많이 알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만약, 가능하다면 우리는 좀 더 나라 밖으로 나가서 붓다의 가르침이 아직 전해지지 않는 곳에 붓다의 말씀을 전파해야 합니다. 우리 자신들이 그렇게 하는 것이 어렵다고 한다면 붓다의 말씀을 전파 하기 위해 봉사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어야 합니다.
다른 이들을 삼보에 귀의할 수 있게 함 Sarangamana(사랑가마나)의 의미는 붓다(Buddha), 담마(Dhamma), 상가(Samga)에 귀의한다는 의미입니다. 모든 수행자는 각자 확신을 가지고 삼보[붓다[(Buddha), 담마(Dhamma), 상가(Samgha)]에 귀의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우리는 삼보를 믿어야만 할까요?
삼보에 귀의함으로써 계속되는 윤회의 사슬을 끊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참한 네 가지 상태지옥, 축생 등을 뜻함)에서도 자유로워 질 수 있음을 우리는 믿어야 합니다. 우리는 또한 담마(Dhamma)는 네 가지 비참한 존재와 계속해서 태어나게 되는 윤회의 사슬로부터 벗어나 모든 살아 있는 존재를 번영시키고 자유롭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믿어야 합니다. 그와 동시에 우리는 담마(Dhamma)를 설법하는 상가(Samgha)에도 믿음을 가져야 합니다. 이러한 믿음들을 통해서 삼보에 귀의할 가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됩니다. 삼보에 귀의한 이들은 확고부동한 믿음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이들은 그들의 다음 존재에서는 네 가지 비참한 상태로 벗어나고 윤회의 사슬도 끊을 수 있게 됩니다.
한번은 붓다께서 어떤 남자에 대한 말씀을 하셨습니다. 이 남자는 사끼안(크사트리아:무사 계급)으로서 Saranani(사라나니)라고 불리었습니다. 그는 오랫동안 삼보에 귀의한 사람으로서 붓다께서는 그를 칭찬하는 말씀을 아래와 같이 하셨습니다.
“사라나니 사끼안은 오랫동안 삼보에 귀의를 하였다. 그런데, 어떻게 그가 비참한 네 가지 상태로 다시 태어날 수 있겠는가?”
삼보에 확고한 믿음을 가지고 귀의하고, 빠른 분별력이 있고, 알려고 준비하고, 비판으로부터 자유로운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현재 생애에서 아라핫뜨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람은 네 가지 비참한 상태(지옥, 축생 등을 뜻함) 에서도 벗어날 수 있습니다. 삼보에 확고한 믿음을 가지고 귀의하고, 빠른 분별력이 있고, 알려고 하는 준비를 하고, 또한 붓다에 대해 비판을 하지 않은 사람이고, 다섯 가지 낮은 속박을 완전히 뿌리째 뽑았다면 brahma(범천)의 왕국에 다시 태어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는 아나가미(다시 돌아오지 않는 경지)가 될 것이고, brahma(범천)에서 빠리닙바나를 얻게 될 것입니다.
또한 만약 삼보에 확고한 믿음을 가지고 귀의하고, 빠른 분별력이 있지 않지만, 알려고 하는 준비를 갖추고, 비판으로부터 자유로운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이 생애에서 수다원(소따빳띠 팔라,sotapatti:흐름으로 들어섬)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비록 어떤 사람이 삼보에 확고한 믿음을 가지고 있지 않거나, 빠른 분별력이 있지 않거나, 알려고 하는 준비를 하고 있지 않거나, 비판으로부터 자유로운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만약 그가 붓다에 대한 믿음이 있다면, 그는 네 가지 비참한 영역에 다시 태어나지 않게 될 것입니다.
경전에 따르면, 단순히 붓다에 대한 믿음만으로도 네 가지 비참한 영역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다라고 하였습니다. 이는 매우 기운을 북돋아 주는 말입니다. 이 의미는 즉, 삼보에 귀의한 사람은 네 가지 비참한 영역으로 빠지지 않게 되는 것임을 명백하게 말해 주는 것입니다. 또한 붓다께서는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
삼보에 귀의하지 않은 다른 이들을 삼보에 귀의하도록(불교신자가 되게끔) 이끄는 이들은 비할 데 없는 은혜를 베푸는 사람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