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 all craving is bad. - 모든 갈망이 나쁜 것은 아니다.
Ananda: ‘It has been said, Sister, that this body has come into being by craving; and that based on craving, craving should be abandoned. With reference to what was this said? In this case, a monk hears it spoken: ‘They say that a monk of such and such a name has, through the destruction of the cankers, realised in this very life the canker free liberation of mind and liberation through wisdom, knowing it directly by himself, entering upon it and abiding in it. Then he thinks: ‘Oh, when shall I, too, . . . realise . . . the canker free liberation of mind and liberation through wisdom...?’ Then, some time later, based on that craving he abandons craving. *It is on account of this that it was said: ‘This body has come into being by craving; and based on craving, craving should be abandoned’
아난다: ‘자매여, 이 몸은 갈망에 의하여 생겼다, 그리고 갈망을 바탕으로 해서 갈망을 버려야한다’고 말씀하셨다. 이 말씀에 관한 것인지? 이와 관련하여, 어떤 스님이 다음과 같은 말씀을 들었다. ‘어떤 이름의 스님이 고민(cankers)을 소멸함으로써 바로 이번 생에서 마음에 고민이 없는 해방과 (그 자신 그것을 직접적으로 알고, 그것을 얻고, 그것에 머무는) 지혜를 통한 해탈을 체득하였다고들 한다. 그는 (이 말을 들은 스님은) 생각합니다.: ‘아, 나는 언제쯤 마음에 고민이 없는 해방과 지혜를 통한 해탈을 체득할까...?’ 그런 뒤 얼마 후에 그 갈망을 바탕으로 그는 갈망을 버립니다. *이로써: ‘이 몸은 갈망에 의하여 생겼다, 그리고 갈망을 바탕으로 해서 갈망을 버려야한다.’고 말씀하셨다.
*Com.: Basedon the present craving(i.e.,desire for becoming an Arahant), he gives up previous craving that was the root-cause of(one: sinvolvementin) the cycle of rebirth. Now(it may be asked) whether such present craving(for Arahant ship)is whole some(kusala) or unwholesome(akusala)? - It is unwholesome. Should it be persued or not? - It should be persued. Does it dragone into rebirth(pati sand him; kaddhati) or not? - It does not dragone into rebirth. Such permissible craving is abandoned when its object is attained.(Avguttara translated by Nyanaponika Thera.)
There is a similar statement about pride(mana) in the same Sutta which should be understood in the same way.
*주석: 현재의 갈망(즉 아라한이 되려는 욕구)을 바탕으로, 그는(자신이 빠진) 윤회의 근본 원인인 이전의 갈망을 버린다. 그러면 이 같은 현재의 갈망(아라한이 되려는)이 선한(kusala, 이로운, 온전한)것인가, 혹은 불선한(akusala, 해로운, 온전하지 않은) 것인가 하고 물을지도 모른다. - 그것은 불선한 것이다. 그것을 추구해야 할까 혹은 하지 말아야 할까?; 추구해야한다. 그것은 윤회(patisandhimakaddhati)로 끌어들일까 혹은 그렇지 않을까? - 그것은 윤회로 끌어 들이지 않는다. 이러한 무방한 갈망은 그것의 목적이 달성된 때에 버려진다.(증지부아함경, I.100, 냐나뽀니까 스님 번역본)
같은 경전에 오만(pride)에 관하여 비슷한 설명이 있다. 같은 방식으로 이해해야 한다.
The last sentence should be translated as: Even attachment to such permissible present craving should be abandoned.(증지부주석서, II, 341)
마지막 문장은 다음과 같이 번역되어야 한다: 이러한 무방한 현재의 갈망에 대한 애착조차도 버려야 한다
3. 불환(不還)의 과(果)의 마음 3rd Fruit consciousness of the Non-returner
4. 아라한과(果)의 마음 4th Fruit consciousness of Arahat
Not all craving is bad. - 모든 갈망이 나쁜 것은 아니다.
Ananda: ‘It has been said, Sister, that this body has come into being by craving; and that based on craving, craving should be abandoned. With reference to what was this said? In this case, a monk hears it spoken: ‘They say that a monk of such and such a name has, through the destruction of the cankers, realised in this very life the canker free liberation of mind and liberation through wisdom, knowing it directly by himself, entering upon it and abiding in it. Then he thinks: ‘Oh, when shall I, too, . . . realise . . . the canker free liberation of mind and liberation through wisdom...?’ Then, some time later, based on that craving he abandons craving. *It is on account of this that it was said: ‘This body has come into being by craving; and based on craving, craving should be abandoned’
아난다: ‘자매여, 이 몸은 갈망에 의하여 생겼다, 그리고 갈망을 바탕으로 해서 갈망을 버려야한다’고 말씀하셨다. 이 말씀에 관한 것인지? 이와 관련하여, 어떤 스님이 다음과 같은 말씀을 들었다. ‘어떤 이름의 스님이 고민(cankers)을 소멸함으로써 바로 이번 생에서 마음에 고민이 없는 해방과 (그 자신 그것을 직접적으로 알고, 그것을 얻고, 그것에 머무는) 지혜를 통한 해탈을 체득하였다고들 한다. 그는 (이 말을 들은 스님은) 생각합니다.: ‘아, 나는 언제쯤 마음에 고민이 없는 해방과 지혜를 통한 해탈을 체득할까...?’ 그런 뒤 얼마 후에 그 갈망을 바탕으로 그는 갈망을 버립니다. *이로써: ‘이 몸은 갈망에 의하여 생겼다, 그리고 갈망을 바탕으로 해서 갈망을 버려야한다.’고 말씀하셨다.
*Com.: Basedon the present craving(i.e.,desire for becoming an Arahant), he gives up previous craving that was the root-cause of(one: sinvolvementin) the cycle of rebirth. Now(it may be asked) whether such present craving(for Arahant ship)is whole some(kusala) or unwholesome(akusala)? - It is unwholesome. Should it be persued or not? - It should be persued. Does it dragone into rebirth(pati sand him; kaddhati) or not? - It does not dragone into rebirth. Such permissible craving is abandoned when its object is attained.(Avguttara translated by Nyanaponika Thera.)
There is a similar statement about pride(mana) in the same Sutta which should be understood in the same way.
*주석: 현재의 갈망(즉 아라한이 되려는 욕구)을 바탕으로, 그는(자신이 빠진) 윤회의 근본 원인인 이전의 갈망을 버린다. 그러면 이 같은 현재의 갈망(아라한이 되려는)이 선한(kusala, 이로운, 온전한)것인가, 혹은 불선한(akusala, 해로운, 온전하지 않은) 것인가 하고 물을지도 모른다. - 그것은 불선한 것이다. 그것을 추구해야 할까 혹은 하지 말아야 할까?; 추구해야한다. 그것은 윤회(patisandhimakaddhati)로 끌어들일까 혹은 그렇지 않을까? - 그것은 윤회로 끌어 들이지 않는다. 이러한 무방한 갈망은 그것의 목적이 달성된 때에 버려진다.(증지부아함경, I.100, 냐나뽀니까 스님 번역본)
같은 경전에 오만(pride)에 관하여 비슷한 설명이 있다. 같은 방식으로 이해해야 한다.
The last sentence should be translated as: Even attachment to such permissible present craving should be abandoned.(증지부주석서, II, 341)
마지막 문장은 다음과 같이 번역되어야 한다: 이러한 무방한 현재의 갈망에 대한 애착조차도 버려야 한다
3. 불환(不還)의 과(果)의 마음 3rd Fruit consciousness of the Non-returner
4. 아라한과(果)의 마음 4th Fruit consciousness of Ara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