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Three
MISCELLANEOUS
1. Savgaha [느낌의 개요]
2. Hetu Savgaha [뿌리(원인)의 개요]
3. Kicca Savgaha [작용의 개요]
4. Savgaha [문의 개요]
5. rammana Savgaha [대상의 개요]
6. Objects and their Subjects in Detail
[빤냐띠의 대상과 주제]
7. Vatthu Savgaha
[의지처의 개요]
8. Three Chapters at a glance
[세장의 열람]
SAVGAHA
[느낌의 개요]
Vedans 1,2,3,5
5 sukha somanassa upekkh: dukkha domanassa
[행복한] [좋은] [중간의] [괴로운] [싫은]
3 sukha upekkh dukkha
[행복한] [중간의] [싫은]
2 sukha dukkha
[행복한] [싫은]
1 dukkh
[싫은]
5Vedans : Sukhindriyam. Dukkhindriyam. Somanassindriyam. Domanassindriyam. Upekkhindriyam. (Vibhavga, 128.)
3Vedans : Tissoim; bhikkhave vedan: sukh; dukkh; adukkhamasukh; ca. (S.ii.407.)
2Vedans : Dve; bhikkhave vedan: sukh; dukkh;. (S.ii.423.)
1Vedan : “Whatsoever there is feeling, all that is dukkha.” This saying of mine was uttered with reference to the impermanence of conditioned things, the rishable nature, the transient nature of conditioned things, their nature to fade away and to cease. (See Kindred Sayings, iv, 145-6.)
5가지 느낌들 : 행복한 느낌의 기능, 괴로운 느낌의 기능, 좋은 느낌의 기능, 싫은 느낌의 기능, 중간의 느낌의 기능 (위방가, 분별론 128)
3가지 느낌들 : 비구들이여 느낌은 세 가지다. 행복한, 괴로운, 괴롭지도 행복하지도 않은 느낌 (S.ii.407.)
2가지 느낌들 : 비구들이여 느낌은 두 가지다. 행복한 느낌과 괴로운 느낌 (S.ii.423.)
1가지 느낌 : “무슨 느낌이든, 모든 것은 괴로움이다.” 내가 말한 이 말은 조건 지어진 것들의 일시성, 깨지기 쉬운 성품, 덧없는 성품, 사라지고 소멸하는 성품에 대하여 말한 것이다. (See Kindred Sayings, iv, 145-6.)
Chapter Three
MISCELLANEOUS
1. Savgaha [느낌의 개요]
2. Hetu Savgaha [뿌리(원인)의 개요]
3. Kicca Savgaha [작용의 개요]
4. Savgaha [문의 개요]
5. rammana Savgaha [대상의 개요]
6. Objects and their Subjects in Detail
[빤냐띠의 대상과 주제]
7. Vatthu Savgaha
[의지처의 개요]
8. Three Chapters at a glance
[세장의 열람]
SAVGAHA
[느낌의 개요]
Vedans 1,2,3,5
5 sukha somanassa upekkh: dukkha domanassa
[행복한] [좋은] [중간의] [괴로운] [싫은]
3 sukha upekkh dukkha
[행복한] [중간의] [싫은]
2 sukha dukkha
[행복한] [싫은]
1 dukkh
[싫은]
5Vedans : Sukhindriyam. Dukkhindriyam. Somanassindriyam. Domanassindriyam. Upekkhindriyam. (Vibhavga, 128.)
3Vedans : Tissoim; bhikkhave vedan: sukh; dukkh; adukkhamasukh; ca. (S.ii.407.)
2Vedans : Dve; bhikkhave vedan: sukh; dukkh;. (S.ii.423.)
1Vedan : “Whatsoever there is feeling, all that is dukkha.” This saying of mine was uttered with reference to the impermanence of conditioned things, the rishable nature, the transient nature of conditioned things, their nature to fade away and to cease. (See Kindred Sayings, iv, 145-6.)
5가지 느낌들 : 행복한 느낌의 기능, 괴로운 느낌의 기능, 좋은 느낌의 기능, 싫은 느낌의 기능, 중간의 느낌의 기능 (위방가, 분별론 128)
3가지 느낌들 : 비구들이여 느낌은 세 가지다. 행복한, 괴로운, 괴롭지도 행복하지도 않은 느낌 (S.ii.407.)
2가지 느낌들 : 비구들이여 느낌은 두 가지다. 행복한 느낌과 괴로운 느낌 (S.ii.423.)
1가지 느낌 : “무슨 느낌이든, 모든 것은 괴로움이다.” 내가 말한 이 말은 조건 지어진 것들의 일시성, 깨지기 쉬운 성품, 덧없는 성품, 사라지고 소멸하는 성품에 대하여 말한 것이다. (See Kindred Sayings, iv, 1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