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빠
사 나

우 만달라 스님 - 열흘 초청 법문 1

2012-04-18

2002년 11월 4일~15일

보리수선원



<차례>

1. 수행자가 준비해야 할 네 가지

2. 왜 우리는 수행해야 하는가?

3.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

4. 말루카풋타숫타

5. 열 가지 나쁜 행위

6. 열 가지 공덕

7. 위빠싸나 수행의 이익

8. 행복으로 가는 길 (1)

9. 행복으로 가는 길 (2)

10. 자애관의 이익



1. 수행자가 준비해야 할 네 가지


 여러분 모두 만나서 반갑습니다. 실제적인 위빠싸나 수행에 관한 담마(법)에 대해 말씀드리기 전에 나는 수행자가 꼭 해야 할 네 가지 마음가짐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그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부처님의 공덕을 반복해서 생각하는 것, 또는 담마와 상가, 부모님과 스승님을 포함한 부처님께 존경 예배하는 것

(2) 자애의 마음(메타, Metta)을 살아있는 모든 존재에게 보내는 것

(3) 자신과 다른 사람에게서 혐오감을 일으키는 몸을 생각하는 것

(4) 죽음의 본질에 대해 반복해서 생각하는 것


 네 가지 중에 첫 번째가 중요합니다. 여러분들은 삼보 즉 부처님, 담마, 상가 그리고 다른 성인들을 존경해야만 합니다. 여러분들이 잘못을 지었다면 여러분들은 삼보에 전적으로 용서해 줄 것을 참회해야 합니다.


 두 번째 또한 중요한데, 여기서 나는 이야기를 하나 해 드릴까 합니다. 한때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위빠싸나 수행에 대해 법문을 해주셨습니다. 법문을 듣고서 비구들은 숲에 가서 부지런히 위빠싸나를 수행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모든 살아있는 존재들에게 자애의 마음을 보내지 않았습니다. 그때 숲에 사는 정령과 신들이 비구들에게 놀라게 하는 많은 대상들을 보였습니다. 그들 신들에게는 자애의 마음이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비구들은 위빠싸나 지혜의 어떤 단계도 실현할 수 없었던 것입니다.


 그리고서 그들은 부처님께 돌아와서 그것에 대해 보고했습니다. 그러자, 부처님께서 그들에게 “자애의 마음을 전했는지 아닌지?” 물으셨습니다. 그들의 대답은 안 했다는 것이지요. 그것이 부처님께서 그들에게 자애경(메타 숫타:Metta Sutta)을 이야기하게 된 경위입니다. 그리고 다시 숲으로 돌아 갈 것을 제의하셨습니다. 부처님의 제의에 따라 비구들이 그곳에 다시 갔을 때 정령이나 신들은 그들이 위빠싸나 수행하는 것을 환영하고 그들을 보살펴주었습니다. 이 이야기대로 우리는 어느 곳에서든 위빠싸나를 수행하거나 다른 것을 하기 전에 살아있는 모든 생명에 자애의 마음을 보내야 합니다.


 세 번째와 네 번째는 수행자의 이상을 성취하도록 도와줍니다. 물론 여러분들이 삶의 향락에 집착하고 여러분들이 임종 시 죽음의 본질을 생각하지 않는다면 여러분들은 위빠싸나를 부지런히 수행하지 않을 것입니다.


 부처님 시대에 카필라바투 왕실이 있는 도시(Royal City)에 자나파다 카리야니(Janapada Kaly)라는 공주가 있었습니다. 그녀는 부처님의 사촌이었지만 어렸을 적엔 부처님께 온 적이 없었습니다. 그녀는 내 오빠인 부처님은 항상 모든 사람들에게 늙음과 죽음에 대해 이야기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카리야니 공주는 매우 아름다웠고 인생을 즐기는데 대해 거만했습니다. 그녀는 죽음이란 것을 생각할 수 없었고 그래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좋아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녀가 부처님께 가서 가르침을 들었습니다. 그녀는 부처님의 법문을 듣고 죽음의 허망함을 알아 결국에는 닙바나를 얻었습니다. 우리도 또한 인생에 대해 집착과 자만을 없애고자 해야 하며 누구나 임종시를 생각해야 합니다. 모든 사람들은 항상 눈, 귀, 코 등을 깨끗이 합니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좋지 않은 것들을 만들고 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내가 죽을 것이고 모든 사람들의 몸도 낡아 죽게 된다는 것을 기억하고 싶어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그것이 우리가 우리 자신을 혐오감을 일으키는 몸으로 생각하고 죽음의 본질에 대해 생각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모든 수행자들이 위빠싸나를 하기 전에 위의 네 가지 준비를 완전하게 해야 합니다.


 수행자가 위빠싸나를 수행하기 원한다면 그는 적당한 장소에 가야 합니다. 부처님께서 수행에 적당한 장소들을 말씀하셨습니다. 첫 번째는 ‘숲’이고 두 번째는 ‘나무 밑’이고 그리고 세 번째는 ‘조용한 외딴 곳’입니다. 우리는 그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수행 처에서 우리는 다른 수행자들을 방해하지 말고 큰소리로 말하지 말아야 합니다. 많은 말은 수행자의 집중을 방해합니다. 수행하는 사람에게 있어서 말하는 것은 ‘가시’로 주석서에는 표현되어 있습니다. 중요한 말도 아니데 쓸데없는 말을 하는 수행자는 집중을 얻을 수 없습니다. 마치 가시가 많은 들판을 걷는 사람이 가시를 쉽게 지나갈 수 없는 것과 같습니다.


 부처님께서 수행자들에게 가르치시기를 “심지어 그가 건강한 사람이라도 약한 병자처럼 행동해야 한다. 눈으로 보되 장님처럼 행동해야 한다. 귀로 듣되 귀머거리처럼 행동해야 한다. 총명한 사람이라도 똑똑하지 않은 사람처럼 행동해야 한다.” 등 그래서 위빠싸나에 집중하는 동안 우리는 매 순간 천천히 부드럽게 행동해야 합니다.


 나는 이 법문의 결론을 맺고자 합니다. 조금 후에, 담마 즉, 마하시 사야도가 가르쳐 준 위빠싸나 수행하는 방법을 철저하게 듣도록 하십시오.


 여러분 모두 위빠싸나를 철저하게 부지런히 수행해서 도와 과 닙바나를 얻으시기를 바랍니다.


2002년 11월 4일


보시 계좌

(사)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 KB국민은행

법보시      
수행참가보시 
선원운영보시 
불사보시    
소년소녀가장 

231437-04-008659
231437-04-008688
231437-04-008646
231437-04-008662
231437-04-008675


선원 문의

 과천·합천·제주 통합번호  064-744-2841

vip-borisu@hanmail.net


사단법인 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6306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평화6길 55-2


ⓒ 2024. (사)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All Rights Reserved


선원 문의

오시는 길


보시 계좌


 전화 문의

과천 · 합천 · 제주 통합번호

064-744-2841

 메일 문의

vip-borisu@hanmail.net

과천 선원
경기도 과천시 과천동 뒷골 2로 15

합천 선원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충효로 64

제주 선원
제주시 애월읍 광령평화6길 55-2

(사)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 KB국민은행

 법보시(출판물)
 수행참가보시
 선원운영보시
불사보시
 소년소녀가장 

 231437-04-008659
 231437-04-008688
 231437-04-008646
 231437-04-008662
 231437-04-008675 


사단법인 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6306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평화6길 55-2 (광령리)


ⓒ 2024. (사)위빠사나 수행처 보리수선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