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11월 4일~15일
보리수선원
<차례>
1. 수행자가 준비해야 할 네 가지
2. 왜 우리는 수행해야 하는가?
3.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
4. 말루카풋타숫타
5. 열 가지 나쁜 행위
6. 열 가지 공덕
7. 위빠싸나 수행의 이익
8. 행복으로 가는 길 (1)
9. 행복으로 가는 길 (2)
10. 자애관의 이익
5. 열 가지 나쁜 행위
오늘의 법문은 ‘열 가지 나쁜 행위’입니다. 수행자는, 특히 집중수행(retreat)동안, 열 가지 나쁜 행위를 하지 않는 것을 지켜야 합니다. 왜냐하면, 수행자의 마음은 순수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마음의 청정, 빨리어로 찌따 위숟디(Citta-visuddhi)는 마음집중을 계발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합니다. 그것은 나쁜 행위를 하지 않는 것에 달려 있기도 합니다. 따라서 열 가지 나쁜 행위를 알아야 합니다.
부처님께서 하지 말라고 말씀하신 세 가지 신체적인 행위, 네 가지 말로 하는 행위와 세 가지 정신적 행위가 있습니다. 세 가지 신체적인 행위는 (1) 살생하는 것 (2) 훔치는 것 (3) 부정한 성행위입니다. 살생을 한 자에 대한 결과는 생명의 단축, 불 건강, 사랑하는 사람들과 헤어져서 항상 비탄, 그리고 항상 공포 속에 사는 것입니다. 훔치는 것의 나쁜 결과는 가난, 고난, 실망, 예속적인 삶입니다. 부정한 성행위의 나쁜 결과는 많은 적을 갖게 됨, 항상 미움을 사고, 바람직하지 않은 아내들과 남편들과 결혼하게 됩니다.
네 가지 말로 하는 행위는 온전하지 않은 불선업(不善業)입니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거짓말 (2) 중상과 소문 퍼뜨리기 (3) 거친 말 그리고 (4) 천박하고 무의미한 말입니다. 거짓말 이외의 다른 온전하지 않은 말로 하는 행위는 네 번째 계의 연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거짓말을 한 자에 대한 나쁜 결과는 욕설과 중상, 불신과 신체적 불쾌함을 겪게 됩니다. 중상의 나쁜 결과는 어떤 충분한 이유 없이 친구들을 잃게 됩니다. 거친 말의 결과는 다른 사람들이 몹시 싫어하게 되고 거친 목소리를 갖게 됩니다. 천박한 말의 필연적인 결과는 결함 있는 신체 기관과 자신이 믿는 것에 대한 불완전한 말입니다.
세 가지 다른 나쁜 행위들은 마음으로 저지르는 것들로 다음과 같습니다. (1) 탐욕, 또는 특히 다른 사람의 물건을 간절히 원함 (2) 악의(성냄), 그리고 (3) 잘못된 견해입니다. 이들 세 가지 행위는 세 가지 나쁜 뿌리인 탐, 진, 치에 상당합니다. 취하게 하는 것을 회피해야 하는 다섯 번째의 계를 지키지 않는 것은 마음이 혼미해진 후에 이들 세 가지 나쁜 정신적 행위를 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몸과 말로 행한 다른 나쁜 행위에 빠질 수 있습니다.
탐욕의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는 그 사람의 소원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악의(성냄)의 결과는 추함, 가지각색의 병, 그리고 몹시 싫은 성격을 갖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틀린 견해의 결과는 거친 욕망을 갖고, 지혜가 없고, 우둔한 이해력, 만성병과 비난할만한 아이디어들을 갖게 됩니다.
이들 행동은 탐, 진, 치에 뿌리를 두고 있고 다른 사람과 특히 자기 자신에게는 이생과 내생에 괴로움을 가져다줍니다. 사람이 깜마의 법칙을 이해하고 나쁜 행위는 나쁜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깨달을 때 올바른 이해(정견)를 실행하고 나쁜 행위를 하는 것을 피할 것입니다. 사람은 항상 선행을 해야 하고 악행을 하는 것을 억제해야 합니다. 그러나 만약 어떤 사람이 악한 행위를 했다면, 잘못했음을 알아차리고 잘못을 반복하지 않도록 노력함이 필요합니다. 이것이 참회의 진정한 뜻입니다. 그리고 이런 방식으로만 그 사람은 구제의 성스러운 길로 전진할 것입니다.
용서를 빌고서 악행을 다시 또다시 반복한다면 용서를 비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자기 자신 말고 누가 있어 자신의 죄를 씻어 주겠습니까? 이것은 훌륭한 정화 장치를 아는 것부터 시작합니다. 첫째, 그는 그의 행위의 본질과 해악을 끼친 정도를 알아야 합니다. 다음은, 그의 행위가 온전하지 않은 불선업이라고 알고, 그것으로부터 배우고, 그것을 반복하지 않겠다고 결심합니다. 그런 뒤에, 영향을 받은 상대는 물론 가능한 한 많은 다른 사람들에게 많은 선행을 베푸는 것입니다. 이런 방식으로, 그는 많은 선행으로 악행의 영향을 지웁니다.
이들 악행의 뿌리들은 도와 과 그리고 닙바나를 달성함으로써 소멸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들이 위빠싸나를 부지런히 수행하면, 이들 뿌리들을 자동적으로 잠시 제거합니다. 여러분이 위빠사나 수행을 오래하면, 오래하는 만큼 그들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제따와나에 있는 사찰에 머무르실 때 가르치신 이야기가 있습니다. 탐바다띠까라는 남자가 있었는데 그는 도둑을 사형 집행하는 사람으로 55년 간 왕을 섬겼습니다. 그는 그 직책에서 은퇴했습니다. 어느 날 그의 집에서 쌀죽을 만든 다음에 사리뿟따 존자가 탁발을 하려고 그의 문간에 서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래서 혼자서 생각하기를, “일생동안, 나는 도둑의 사형을 집행해왔으니, 지금 존자께 음식공양을 해야겠다.” 그리고 사리뿟따 존자를 들어오시도록 초청하고 쌀죽을 공손히 드렸습니다.
공양 후에 존자께서 그에게 담마를 가르쳤습니다. 그러나 탐바다띠까는 주의를 기울일 수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그는 그가 사형집행수로 과거생활을 회상하면서 너무 동요되었기 때문입니다. 그 사정을 알고서, 사리뿟따 존자는 탐바다띠까에게 그가 도둑들을 죽인 것이 그가 죽이고 싶어 그랬는지 또는 명령 때문이었는지 신중하게 물어보기로 결정했습니다. 탐바다띠까가 답변하기를 그는 왕의 명령에 따라 그들을 죽였고 그는 죽이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고 했습니다. 그러자, 사리뿟따 존자가 질문하시기를, “그렇다면, 당신이 죄가 있겠습니까 또는 없겠습니까?” 그때 탐바다띠까는 그가 악행에 책임이 없기 때문에 그는 죄가 없다고 결론지었습니다. 그러므로 그는 안정되고 그리고 그는 존자께 그의 설법을 계속하시기를 요청했습니다. 그가 담마를 주의를 기울여 듣자, 그는 흐름에 들어 선 분의 단계에 이루기에 아주 가깝게 되어서 Anuloma(Adaptation Knowledge-적응하는 앎)에까지 도달했습니다.
이와 같이, 아무도 마음의 정화 없이는 더 높은 앎을 얻을 수 없고 나쁜 행위를 저지르고는 가능하지 않습니다. 법문을 끝내겠습니다. 여러분 모두 나쁜 행위를 멀리 하거나 하지 않음으로써 막가 냐냐(도의 앎), 팔라 냐냐(과의 앎)과 닙바나를 얻으시기를 바랍니다.
6. 열 가지 공덕
오늘 법문은 ‘열 가지 공덕’입니다.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은 행복한 삶이 되기를 원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행복하지 못한 삶에 있습니다. 왜 우리에게 이런 일이 있을까요? 과거와 현재 생에서 행해진 좋은 행위를 한 것과 나쁜 행위를 한 것 때문에 우리가 그 행동의 결과를 받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행복한 삶을 받고자 하면 우리는 우리가 할 수 있는 만큼 좋은 행위를 해야 합니다. 좋은 행위를 한 것은 공덕, 즉 마음을 깨끗하게 하고 정화하는 특성을 높여 줍니다. 만약 방심한다면 나쁜 성향들에 지배되는 경향을 갖게 되며,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나쁜 행위를 하도록 이끌어 곤경에 처하게 합니다. 공덕은 탐, 진, 치(탐욕, 증오, 미혹)의 나쁜 성향들의 마음을 정화 시킵니다. 탐욕의 마음은 욕망을 갖게 하고, 모으고, 쌓아두게 합니다. 증오하는 마음은 혐오나 성냄으로 이끕니다. 어리석은 마음은 이런 나쁜 뿌리들이 옳고 가치 있다고 생각하게 하여 사람을 탐욕과 증오에 빠지게 합니다. 가치 없는 행위는 더 고통스럽게 하고 사람에게서 담마를 알고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줄입니다.
공덕은 우리의 전 생애를 통한 여행에서 우리를 돕는 중요한 것입니다. 무엇이 우리 자신과 다른 이들에게 선하고 이익이 되는 지와 관련되어 있으며, 마음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사람이 모은 물질적인 풍요함은 도둑, 홍수, 불, 몰수 등으로 잃을 수 있지만 공덕의 이익은 생에서부터 생으로 그를 따르고 잃어버릴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공덕이 되는 행위를 더욱더 계속하려는 아무런 시도를 하지 않으면 고갈될 수는 있습니다. 공덕있는 행위를 통해서 장래에 뿐만 아니라 지금 이곳에서도 행복을 경험할 것입니다.
공덕은 위대한 촉진제입니다. 이것은 어느 곳에든 기회의 문을 열어 놓습니다. 공덕있는 사람은 그가 그의 노력을 쏟는 일에 성공할 것입니다. 사업을 하기 원하는 사람이라면 바른 접촉과 친구들을 만날 것입니다. 학자가 되기 원하는 사람이라면 학위를 받고 학문적인 선도자에 의해 지원 받을 것입니다. 수행에 있어서 진보하기를 원하는 수행자라면 그는 그 수행자의 정신적인 계발을 꿰뚫어 안내하는 능숙한 수행 스승을 만날 것입니다. 사람들의 꿈은 그의 공덕의 보물 상자의 은혜를 통해서 실현될 수 있을 것입니다. 한 사람을 천국에서 다시 태어나게 하여 적당한 환경을 제공하고 그리고 닙바나를 성취하게 지원하는 것도 공덕입니다.
선한 행위의 실천자에게 관대한 결과를 가져오는 공덕(행위의 수령자들)에는 여러 풍부한 분야가 있습니다. 마치 토양이 좋은 곳에서 더 좋은 수확을 얻을 수 있듯이, 어떤 사람들에게 행해진 좋은 행위가 다른 사람들에게 보다 더 많은 공덕을 가져다 줄 수 있습니다. 공덕이 풍부한 복전은 상가와 성스러운 사람들, 어머니, 아버지 그리고 매우 가난한 사람들을 포함합니다. 이런 사람들에게 행해진 좋은 행위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나타날 것이고 많은 놀랄만한 결과의 원천이 될 것입니다.
부처님께서는 우리들이 행복하고 평화로운 삶을 얻고 지혜를 개발하고 이해하기 위해 해야 할 열 가지 공덕 행위를 가르쳐 주셨습니다. 그 열 가지 공덕 행위는,
(1) 보시
(2) 도덕성
(3) 정신적 수양
(4) 경외 또는 존경
(5) 남을 돕는 봉사
(6) 공덕을 남과 나눔
(7) 다른 이들의 공덕을 함께 기뻐함
(8) 담마를 설교하고 가르침
(9) 담마를 들음
(10) 견해를 바르게 함
이 열 가지 공덕행 실천은 자신에게 이익이 될 뿐만 아니라 수령자들 이외의 남에게도 이익을 줍니다. 도덕적인 행위는 접촉하게 되는 모든 존재들에게 이익이 됩니다. 정신적인 수양은 다른 사람들에게 평화를 가져다주고 그들이 담마를 수행하도록 고취시킵니다. 경외는 사회에 조화를 가져오고, 봉사는 다른 이들의 삶을 향상시킵니다. 다른 이들과 공덕을 나누는 것은 한 사람이 다른 이들의 행복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다른 이들의 공덕을 함께 기뻐하는 것은 다른 이들이 좀 더 공덕을 짓도록 격려합니다. 담마를 가르치고 듣는 것은 가르치는 사람과 듣는 사람에게 모두 행복을 위한 중요한 요소입니다. 담마에 따라서 살도록 둘 다에게 격려해 주기 때문입니다. 견해를 바르게 하는 것은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담마의 미덕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아래 법문은 부처님께서 법구경에서 여신 라자(Laja)와 빌랄라빠다까(Bilalapadaka)라는 남자에게 가르치신 것입니다.
만약 착한 일을 했거든 되풀이해서 하라. 그는 그것에서 기쁨을 얻을 것이고 그 공덕의 쌓임은 행복으로 이끈다. ‘이 작은 것은 내게 영향을 줄 수 없을 것’이라 상상하여 착한 일을 하는 것을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되며, 빗방울이 모여서 물독을 채우듯 현명한 사람은 조금씩 쌓아감으로써 공덕으로 자신을 채운다.
이 법문의 끝에 그들은 위빠싸나를 수행해서 흐름에 들어서신 분의 경지(Stream Winner)를 얻었습니다.
여러분들도 선업을 축적해 나가고 위빠싸나를 수행함으로써 도와 과, 닙바나의 계발을 얻으시기 바랍니다.
2002년 11월 4일~15일
보리수선원
<차례>
1. 수행자가 준비해야 할 네 가지
2. 왜 우리는 수행해야 하는가?
3.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
4. 말루카풋타숫타
5. 열 가지 나쁜 행위
6. 열 가지 공덕
7. 위빠싸나 수행의 이익
8. 행복으로 가는 길 (1)
9. 행복으로 가는 길 (2)
10. 자애관의 이익
5. 열 가지 나쁜 행위
오늘의 법문은 ‘열 가지 나쁜 행위’입니다. 수행자는, 특히 집중수행(retreat)동안, 열 가지 나쁜 행위를 하지 않는 것을 지켜야 합니다. 왜냐하면, 수행자의 마음은 순수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마음의 청정, 빨리어로 찌따 위숟디(Citta-visuddhi)는 마음집중을 계발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합니다. 그것은 나쁜 행위를 하지 않는 것에 달려 있기도 합니다. 따라서 열 가지 나쁜 행위를 알아야 합니다.
부처님께서 하지 말라고 말씀하신 세 가지 신체적인 행위, 네 가지 말로 하는 행위와 세 가지 정신적 행위가 있습니다. 세 가지 신체적인 행위는 (1) 살생하는 것 (2) 훔치는 것 (3) 부정한 성행위입니다. 살생을 한 자에 대한 결과는 생명의 단축, 불 건강, 사랑하는 사람들과 헤어져서 항상 비탄, 그리고 항상 공포 속에 사는 것입니다. 훔치는 것의 나쁜 결과는 가난, 고난, 실망, 예속적인 삶입니다. 부정한 성행위의 나쁜 결과는 많은 적을 갖게 됨, 항상 미움을 사고, 바람직하지 않은 아내들과 남편들과 결혼하게 됩니다.
네 가지 말로 하는 행위는 온전하지 않은 불선업(不善業)입니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거짓말 (2) 중상과 소문 퍼뜨리기 (3) 거친 말 그리고 (4) 천박하고 무의미한 말입니다. 거짓말 이외의 다른 온전하지 않은 말로 하는 행위는 네 번째 계의 연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거짓말을 한 자에 대한 나쁜 결과는 욕설과 중상, 불신과 신체적 불쾌함을 겪게 됩니다. 중상의 나쁜 결과는 어떤 충분한 이유 없이 친구들을 잃게 됩니다. 거친 말의 결과는 다른 사람들이 몹시 싫어하게 되고 거친 목소리를 갖게 됩니다. 천박한 말의 필연적인 결과는 결함 있는 신체 기관과 자신이 믿는 것에 대한 불완전한 말입니다.
세 가지 다른 나쁜 행위들은 마음으로 저지르는 것들로 다음과 같습니다. (1) 탐욕, 또는 특히 다른 사람의 물건을 간절히 원함 (2) 악의(성냄), 그리고 (3) 잘못된 견해입니다. 이들 세 가지 행위는 세 가지 나쁜 뿌리인 탐, 진, 치에 상당합니다. 취하게 하는 것을 회피해야 하는 다섯 번째의 계를 지키지 않는 것은 마음이 혼미해진 후에 이들 세 가지 나쁜 정신적 행위를 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몸과 말로 행한 다른 나쁜 행위에 빠질 수 있습니다.
탐욕의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는 그 사람의 소원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악의(성냄)의 결과는 추함, 가지각색의 병, 그리고 몹시 싫은 성격을 갖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틀린 견해의 결과는 거친 욕망을 갖고, 지혜가 없고, 우둔한 이해력, 만성병과 비난할만한 아이디어들을 갖게 됩니다.
이들 행동은 탐, 진, 치에 뿌리를 두고 있고 다른 사람과 특히 자기 자신에게는 이생과 내생에 괴로움을 가져다줍니다. 사람이 깜마의 법칙을 이해하고 나쁜 행위는 나쁜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깨달을 때 올바른 이해(정견)를 실행하고 나쁜 행위를 하는 것을 피할 것입니다. 사람은 항상 선행을 해야 하고 악행을 하는 것을 억제해야 합니다. 그러나 만약 어떤 사람이 악한 행위를 했다면, 잘못했음을 알아차리고 잘못을 반복하지 않도록 노력함이 필요합니다. 이것이 참회의 진정한 뜻입니다. 그리고 이런 방식으로만 그 사람은 구제의 성스러운 길로 전진할 것입니다.
용서를 빌고서 악행을 다시 또다시 반복한다면 용서를 비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자기 자신 말고 누가 있어 자신의 죄를 씻어 주겠습니까? 이것은 훌륭한 정화 장치를 아는 것부터 시작합니다. 첫째, 그는 그의 행위의 본질과 해악을 끼친 정도를 알아야 합니다. 다음은, 그의 행위가 온전하지 않은 불선업이라고 알고, 그것으로부터 배우고, 그것을 반복하지 않겠다고 결심합니다. 그런 뒤에, 영향을 받은 상대는 물론 가능한 한 많은 다른 사람들에게 많은 선행을 베푸는 것입니다. 이런 방식으로, 그는 많은 선행으로 악행의 영향을 지웁니다.
이들 악행의 뿌리들은 도와 과 그리고 닙바나를 달성함으로써 소멸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들이 위빠싸나를 부지런히 수행하면, 이들 뿌리들을 자동적으로 잠시 제거합니다. 여러분이 위빠사나 수행을 오래하면, 오래하는 만큼 그들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제따와나에 있는 사찰에 머무르실 때 가르치신 이야기가 있습니다. 탐바다띠까라는 남자가 있었는데 그는 도둑을 사형 집행하는 사람으로 55년 간 왕을 섬겼습니다. 그는 그 직책에서 은퇴했습니다. 어느 날 그의 집에서 쌀죽을 만든 다음에 사리뿟따 존자가 탁발을 하려고 그의 문간에 서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래서 혼자서 생각하기를, “일생동안, 나는 도둑의 사형을 집행해왔으니, 지금 존자께 음식공양을 해야겠다.” 그리고 사리뿟따 존자를 들어오시도록 초청하고 쌀죽을 공손히 드렸습니다.
공양 후에 존자께서 그에게 담마를 가르쳤습니다. 그러나 탐바다띠까는 주의를 기울일 수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그는 그가 사형집행수로 과거생활을 회상하면서 너무 동요되었기 때문입니다. 그 사정을 알고서, 사리뿟따 존자는 탐바다띠까에게 그가 도둑들을 죽인 것이 그가 죽이고 싶어 그랬는지 또는 명령 때문이었는지 신중하게 물어보기로 결정했습니다. 탐바다띠까가 답변하기를 그는 왕의 명령에 따라 그들을 죽였고 그는 죽이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고 했습니다. 그러자, 사리뿟따 존자가 질문하시기를, “그렇다면, 당신이 죄가 있겠습니까 또는 없겠습니까?” 그때 탐바다띠까는 그가 악행에 책임이 없기 때문에 그는 죄가 없다고 결론지었습니다. 그러므로 그는 안정되고 그리고 그는 존자께 그의 설법을 계속하시기를 요청했습니다. 그가 담마를 주의를 기울여 듣자, 그는 흐름에 들어 선 분의 단계에 이루기에 아주 가깝게 되어서 Anuloma(Adaptation Knowledge-적응하는 앎)에까지 도달했습니다.
이와 같이, 아무도 마음의 정화 없이는 더 높은 앎을 얻을 수 없고 나쁜 행위를 저지르고는 가능하지 않습니다. 법문을 끝내겠습니다. 여러분 모두 나쁜 행위를 멀리 하거나 하지 않음으로써 막가 냐냐(도의 앎), 팔라 냐냐(과의 앎)과 닙바나를 얻으시기를 바랍니다.
6. 열 가지 공덕
오늘 법문은 ‘열 가지 공덕’입니다.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은 행복한 삶이 되기를 원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행복하지 못한 삶에 있습니다. 왜 우리에게 이런 일이 있을까요? 과거와 현재 생에서 행해진 좋은 행위를 한 것과 나쁜 행위를 한 것 때문에 우리가 그 행동의 결과를 받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행복한 삶을 받고자 하면 우리는 우리가 할 수 있는 만큼 좋은 행위를 해야 합니다. 좋은 행위를 한 것은 공덕, 즉 마음을 깨끗하게 하고 정화하는 특성을 높여 줍니다. 만약 방심한다면 나쁜 성향들에 지배되는 경향을 갖게 되며,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나쁜 행위를 하도록 이끌어 곤경에 처하게 합니다. 공덕은 탐, 진, 치(탐욕, 증오, 미혹)의 나쁜 성향들의 마음을 정화 시킵니다. 탐욕의 마음은 욕망을 갖게 하고, 모으고, 쌓아두게 합니다. 증오하는 마음은 혐오나 성냄으로 이끕니다. 어리석은 마음은 이런 나쁜 뿌리들이 옳고 가치 있다고 생각하게 하여 사람을 탐욕과 증오에 빠지게 합니다. 가치 없는 행위는 더 고통스럽게 하고 사람에게서 담마를 알고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줄입니다.
공덕은 우리의 전 생애를 통한 여행에서 우리를 돕는 중요한 것입니다. 무엇이 우리 자신과 다른 이들에게 선하고 이익이 되는 지와 관련되어 있으며, 마음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사람이 모은 물질적인 풍요함은 도둑, 홍수, 불, 몰수 등으로 잃을 수 있지만 공덕의 이익은 생에서부터 생으로 그를 따르고 잃어버릴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공덕이 되는 행위를 더욱더 계속하려는 아무런 시도를 하지 않으면 고갈될 수는 있습니다. 공덕있는 행위를 통해서 장래에 뿐만 아니라 지금 이곳에서도 행복을 경험할 것입니다.
공덕은 위대한 촉진제입니다. 이것은 어느 곳에든 기회의 문을 열어 놓습니다. 공덕있는 사람은 그가 그의 노력을 쏟는 일에 성공할 것입니다. 사업을 하기 원하는 사람이라면 바른 접촉과 친구들을 만날 것입니다. 학자가 되기 원하는 사람이라면 학위를 받고 학문적인 선도자에 의해 지원 받을 것입니다. 수행에 있어서 진보하기를 원하는 수행자라면 그는 그 수행자의 정신적인 계발을 꿰뚫어 안내하는 능숙한 수행 스승을 만날 것입니다. 사람들의 꿈은 그의 공덕의 보물 상자의 은혜를 통해서 실현될 수 있을 것입니다. 한 사람을 천국에서 다시 태어나게 하여 적당한 환경을 제공하고 그리고 닙바나를 성취하게 지원하는 것도 공덕입니다.
선한 행위의 실천자에게 관대한 결과를 가져오는 공덕(행위의 수령자들)에는 여러 풍부한 분야가 있습니다. 마치 토양이 좋은 곳에서 더 좋은 수확을 얻을 수 있듯이, 어떤 사람들에게 행해진 좋은 행위가 다른 사람들에게 보다 더 많은 공덕을 가져다 줄 수 있습니다. 공덕이 풍부한 복전은 상가와 성스러운 사람들, 어머니, 아버지 그리고 매우 가난한 사람들을 포함합니다. 이런 사람들에게 행해진 좋은 행위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나타날 것이고 많은 놀랄만한 결과의 원천이 될 것입니다.
부처님께서는 우리들이 행복하고 평화로운 삶을 얻고 지혜를 개발하고 이해하기 위해 해야 할 열 가지 공덕 행위를 가르쳐 주셨습니다. 그 열 가지 공덕 행위는,
(1) 보시
(2) 도덕성
(3) 정신적 수양
(4) 경외 또는 존경
(5) 남을 돕는 봉사
(6) 공덕을 남과 나눔
(7) 다른 이들의 공덕을 함께 기뻐함
(8) 담마를 설교하고 가르침
(9) 담마를 들음
(10) 견해를 바르게 함
이 열 가지 공덕행 실천은 자신에게 이익이 될 뿐만 아니라 수령자들 이외의 남에게도 이익을 줍니다. 도덕적인 행위는 접촉하게 되는 모든 존재들에게 이익이 됩니다. 정신적인 수양은 다른 사람들에게 평화를 가져다주고 그들이 담마를 수행하도록 고취시킵니다. 경외는 사회에 조화를 가져오고, 봉사는 다른 이들의 삶을 향상시킵니다. 다른 이들과 공덕을 나누는 것은 한 사람이 다른 이들의 행복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다른 이들의 공덕을 함께 기뻐하는 것은 다른 이들이 좀 더 공덕을 짓도록 격려합니다. 담마를 가르치고 듣는 것은 가르치는 사람과 듣는 사람에게 모두 행복을 위한 중요한 요소입니다. 담마에 따라서 살도록 둘 다에게 격려해 주기 때문입니다. 견해를 바르게 하는 것은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담마의 미덕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아래 법문은 부처님께서 법구경에서 여신 라자(Laja)와 빌랄라빠다까(Bilalapadaka)라는 남자에게 가르치신 것입니다.
만약 착한 일을 했거든 되풀이해서 하라. 그는 그것에서 기쁨을 얻을 것이고 그 공덕의 쌓임은 행복으로 이끈다. ‘이 작은 것은 내게 영향을 줄 수 없을 것’이라 상상하여 착한 일을 하는 것을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되며, 빗방울이 모여서 물독을 채우듯 현명한 사람은 조금씩 쌓아감으로써 공덕으로 자신을 채운다.
이 법문의 끝에 그들은 위빠싸나를 수행해서 흐름에 들어서신 분의 경지(Stream Winner)를 얻었습니다.
여러분들도 선업을 축적해 나가고 위빠싸나를 수행함으로써 도와 과, 닙바나의 계발을 얻으시기 바랍니다.